мȸ ǥ ʷ

ǥ : ȣ - 530459   237 
심각한 판막질환이 없는 심방세동에서 RR 간격들과 초기 확장기 승모판윤 속도와의 관계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순환기 내과학교실
김은영, 오민석, 권지은, 김정은, 조은정, 서기우, 이왕수, 이광제, 김상욱, 김태호, 김치정, 류왕성
목 적 심방세동에서는 RR파 간격이 매우 불규칙하기 때문에 전부하와 수축력이 매 박동마다 변하며, 따라서 박출량도 계속 변하게 된다. RR파 간격에 따른 이러한 좌심실 수축기 기능이 변화는 여러 연구에서 확인되어 왔으나, 확장기 기능의 변화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초기 확장기 승모판윤 속도(E’)는 좌심실 확장기 기능을 잘 대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심방세동에서 RR 간격과 E’ 사이의 상관관계를 관찰하여 좌심실 수축기 기능의 연속적인 변화가 E’에 어떤 영향을 나타내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만성 심방세동이 있는 환자로서 승모판이나 대동맥판에 혈역학적으로 의미가 있는 협착이나 중등도 이상의 역류가 없는 5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도플러 조직 영상을 이용하여 초기 확장기 승모판윤 속도(E’)를 측정하여 이들과 전(preceding)과 전전(pre-preceding) RR 파 간격들 간의 관계를 로그 공식을 이용하여 분석하여 기울기를 구하였다. 결 과 전 RR 파 와 E’ 사이의 관계에서 기울기는 -2.44에서 2.2까지 개인 간에 다양하였으며, 평균적으로 기울기가 거의 편평하여 수축기 기능의 변화에 따른 확장기 기능의 변화는 뚜렷하지 않았다. 음의 상관관계를 보인 예 (n=31)들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인 예 (n=27)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에서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인 경우에서 좌심방의 크기가 유의하게 컸고(5.42±0.64 cm vs. 4.92±0.53 cm, p=0.02). 평균 RR 파 간격이 길었다(0.84±0.14 cm vs. 0.76±0.16 cm, p=0.0443). 전 RR파 와 E’ 사이의 관계에서 기울기는 나이(r=-0.35, p=0.007)와, 평균 RR 간격(r=-0.31, p=0.018), 좌심방 크기(r=-0.23, p=0.080)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전전 RR 파 와 E’ 사이의 관계에서도 기울기는 개인 간에 다양하였다. 평균 E’은 나이 (r=-0.29, p=0.029), 좌심방 크기 (r=-0.30, p=0.022), 성별(r=-0.28, p=0.031)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평균 RR 간격과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27,p=0.038). 결 론 심방세동에서 불규칙한 RR 간격에 의한 수축기 기능의 변화에 따른 E' 의 변화는 개인에 따라 다양한 영향을 보였다. 상대적으로 젊고, 좌심방이 작으며, RR 간격이 짧은 경우에는 RR 간격이 길어져 수축기 기능이 항진되는 경우에 E'이 커지는 경향을 보였다. 향후 이러한 현상의 임상적 의의에 대하여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중심 단어: 좌심실 기능, 심방세동, 심전도, 간헐적 도플러, 심초음파


[ư]


logo 학술대회일정 사전등록안내 초록등록안내 초록등록/관리 숙박 및 교통 안내 전시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