мȸ ǥ ʷ

ǥ : ȣ - 530306   66 
Serial monitoring of NT-pro BNP for predictor of acute cellular rejection after heart transplantation
성균관의대 삼성서울병원 심장혈관센터
김상민, 나종천, 박정랑, 이현종, 양지현, 최준혁, 최진오, 박승우, 전은석
연구배경) 심장이식 후 세포성 거부 반응은 이식 1 년 이내 이식 환자의 70% 정도에서 발생한다. 심근생검은 세포성 거부반응 여부 및 염증 정도의 확진에 반드시 필요한 검사로 치료를 위한 필수적인 검사이긴 하지만 단기간에 반복적으로 시행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어 간접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여러 가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그 중 NT-proBNP 측정은 심장이식 후 증가하나 무증상의 세포성 거부반응을 확인하는데 도움이 되는지 여부는 아직 확실하지 않으며 개체간 혹은 개체내 변동이 있어 제한된다. 이에 본 연구는 NT-proBNP의 연속적으로 측정하여 구한 변동율이 거부반응을 예측하는데 유용한지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및 결과) 심장이식 받은 환자 61명을 대상으로 시행한 329 번의 심근 생검 결과를 같이 측정한 NT-proBNP 수치와 비교분석 하였다. 생검일 당일 NT-proBNP 혈중치를 측정하였고, 절대값과 이전 생검시 측정하였던 값과의 변화된 분율[(NT-proBNP – 이전 생검시 측정된 NT-proBNP)/이전 생검시 측정된 NT-proBNP]을 생검 결과와 비교하였다. 국제 폐심장 이식학회 분류법(1995년도)에 따라 병리학적 거부반응의 정도를 확인하였고 grade 2이상을 거부반응으로 정의하였다. 거부반응은 64건에서 발견되었고 평균 NT-proBNP level은 2717.4±5829.1pg/ml, 거부반응이 없었던 265명의 평균 NT-proBNP level은 2654.6±5927.81pg/ml (p-value = 0.939)로 차이가 없었다. NT-proBNP 변동율(표)은 생검 결과상 거부반응이 없는 상태에서 발생한 경우, 거부반응 상태에서 호전된 경우, 거부반응 없는 상태가 유지된 경우, 거부반응이 지속된 경우로 구분하여 비교하였고, ANOVA test상 유의한 차이(p-value = 0.005)를 보였다. 각 군간을 비교하였을 때는 거부반응이 새롭게 발생하였을 때와 거부반응 없이 유지된 군간에 유의하게 차이가 나(p-value = 0.002), 특히 새롭게 발생하는 거부반응을 확인하는데 유용함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NT-proBNP의 연속적인 측정을 통한 변화의 분율의 확인이 심근 거부반응을 확인하는데 비관혈적인 검사로서 유용할 수 있겠다.

 

rejection (-) → (+)

rejection (+) → (-)

rejection (-) → (-)

rejection (+) → (+)

p-value

ΔNT -proBNP(%)

16

12

52

6

0.005

24

26

120

13

N

40

38

172

19

Mean±SD

504.7 ± 2023.4

-8.7 ± 64.1

18.0 ± 184.7*

17.5 ± 150.4

 *;거부반응이 새로 생긴 군과 거부반응 없이 유지된 군 (p-value = 0.002)



[ư]


logo 학술대회일정 사전등록안내 초록등록안내 초록등록/관리 숙박 및 교통 안내 전시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