мȸ ǥ ʷ

ǥ : ȣ - 530155   226 
만성 안정성 협심증에서 관상동맥경화증의 예측 인자로서 대동맥경직도
전남대학교병원 심장센터, 보건복지부 심장질환 특성화 연구센터
오춘순, 정명호, 김민철, 손윤경, 이수진, 조경훈, 김현국, 김성수, 고점석, 이민구, 심두선, 박근호, 윤남식, 윤현주, 박형욱, 김계훈, 홍영준, 김주한, 안영근, 조정관, 박종춘, 강정채
목적: 상완-발목 맥파속도 (Brachial-ankle pulse wave velocity; BaPWV)는 대동맥 경직도 (Aortic stiffness) 의 간접 지표이면서 심혈관 질환의 독립된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다. 심근경색증뿐만 아니라 만성 안정성 협심증 (chronic stable angina pectoris; SAP) 환자에서도 baPWV 측정은 관상동맥 경화도를 예측할 수 있는지 알아 보기 위하여, SAP 환자에서 baPW를 측정하여 관상동맥경화증의 예측 정도를 평가 하였다. 방법: 2005년 2월부터 2007.6월까지 SAP로 진단 받았던 환자 1,3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baPWV를 측정하여 4군으로 나누었고 (I군: 1300 이하, II군: 1300 ~ 1455, III군: 1455 ~ 1660, IV군: 1660 이상), 관상동맥 조영술을 시행했던 환자 군에서 이에 대한 결과를 분석 하였다. 결과 연령은 IV군에서 많았으며 (p<0.001), body mass index (BMI) 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0.181). 고혈압 및 당뇨병의 빈도는 baPWV 증가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각각 p<0.001). 내원 당시 측정한 진단의학검사에서 혈청 지질 수치에는 네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Ankle-brachial index (ABI) 는 baPWV가 높을수록 증가하였다 (p<0.001). 관상동맥 조영술은 539예(40.5%)에서 시행되었으며, 유의한 관상동맥 협착을 보인 환자의 비율은 IV 군에서 가장 높았다 (31.5% vs. 40.8% vs. 39.3% vs. 50.9%, p<0.001). 추적 관상동맥 조영술은 269예에서 시행 되었으며, 재협착을 보인 빈도에 있어서 각 군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5.0% vs. 29.6% vs. 19.7% vs. 30.3%, p=0.779). 관상동맥 재협착의 독립적 예후인자는 연령 OR 1.051, 95% CI 1.012~1.090, p=0.009), 혈청 creatinine (OR 7.809, 95% CI 1.365~44.684, p=0.021), fibrinogen level (OR 1.007, 95% CI 1.001~1.012, p=0.013) 등이었다. 결론: 만성 안정성 협심증 환자에서 측정한 상완-발목 맥파 속도가 높을수록 관상동맥 협착을 가진 비율이 높았으나, 관상동맥 재협착을 예측할 수 있는 인자는 아니었다.


[ư]


logo 학술대회일정 사전등록안내 초록등록안내 초록등록/관리 숙박 및 교통 안내 전시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