мȸ ǥ ʷ

ǥ : ȣ - 520398   219 
Predictor of myocardial dysfunction and acute cellular rejection After heart transplantation
성균관의대 삼성서울병원 심장혈관센터
최준혁, 최수희, 양지현, 노혜진, 이현종, 조현철, 송봉근, 최진오, 박승우, 전은석
연구배경) 심장이식 후 세포성 거부 반응은 이식 1 년 이내 이식 환자의 70% 정도에서 발생한다. 심초음파도는 심장이식 후 수축 이완 기능 평가, 폐동맥 고혈압의 정도, 심막삼출 등을 알 수 있고, 도플러를 이용한 심장 이완기능의 평가는 거부 반응의 정도를 반영한다고 알려져 있지만 아직 거부 반응시 조직학적 염증 정도 및 치료 필요 여부는 확인할 수 없다. 심근생검은 세포성 거부반응 여부 및 염증 정도의 확진에 반드시 필요한 검사로 치료를 위한 필수적인 검사이긴 하지만 단기간에 반복적으로 시행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는 심장이식 받은 환자 42명을 대상으로 시행한 188 번의 심근 생검 결과를 생검 당일 측정한 NT proBNP 혈중치, 심초음파도의 지표들과 비교분석하여 거부반응 정도를 반영할 수 있는 비관혈적 지표를 알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및 결과) 국제 폐심장 이식학회 분류법(1995년도)에 따른 병리학적 거부반응의 정도는 침윤 없거나 미약한 정도인 grade 0이 101 예, grade 1A와 1B는 54예, grade 2는 14예, grade 3A와 3는 13예 이었다. 거부 반응의 정도와 심초음파도에서 수축기능과 이완기능 지표들 즉, ejection fraction, LA volume index, EA ratio, DT, E/e’ 또는 diastolic function grade 등은 거부 반응의 정도를 예측할 수 없었으며 심부전 정도를 반영하는 NT proBNP 혈중치 역시 거부 반응의 정도와는 상관 관계가 없었다(Table 1, Mean±SEM). 거부 반응의 정도를 < grade 2, grade 2 이상으로 구분하였을 때도 거부 반응을 예측할 수 있는 지표는 없었다. 결론적으로 심장 이식 후 심장 기능 평가에 많은 도움을 주는 경흉부 심초음파에서 거부 반응의 정도를 예측할 수 있는 지표들은 없었으며, NT proBNP 역사 심기능의 평가가 가능하지만 거부 반응의 정도는 반영하지 못해 심근 생검만이 거부 반응의 정도 및 치료 여부를 결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Grade 0

Grade 1

Grade 2

Grade 3

NT -proBNP(pg/ml)

2356 ± 404

2094 ± 421

5162 ± 3057

3130 ± 1181

Ejection Fraction (%)

62.9 ± 0.62

62.3 ± 0.62

62.5 ± 1.58

57.8 ± 1.68*

LAVI (ml/m3)

41.4 ± 1.36

41.4 ± 2.34

33.0 ± 8.2

40.0 ± 4.8

EA ratio

2.1 ± 0.07

2.19 ± 0.15

1.45 ± 0.11*

1.97 ± 0.18

DT(msec)

174 ± 4.3

176 ± 5.8

176 ± 9.5

184 ± 8.35

E/e’

13.0 ± 0.49

12.6 ± 5.1

12.6 ± 5.8

13.01 ± 1.25



[ư]


logo 학술대회일정 사전등록안내 초록등록안내 초록등록/관리 숙박 및 교통 안내 전시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