мȸ ǥ ʷ


Warning: getimagesize(/home/virtual/circulationadmin/htdocs/econgress/conference/abstract/img_files/Preg-HTN-BNP.jpg) [function.getimagesize]: failed to open stream: No such file or directory in /home/virtual/circulationadmin/new/econgress/conference/manage/schedule/view_abstract.php on line 164
ǥ : ȣ - 510910   159 
전자간증 산모에서 N-terminal pro-natriuretic peptide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순환기내과¹ , 산부인과²
이상혁¹, 양동헌¹ , 구태본² , 장세용¹ , 류현민¹ , 이장훈¹ , 이주환¹ , 장귀련¹ , 박헌식¹ , 조용근¹ , 채성철¹ , 전재은¹ , 박의현¹
배경 : 심혈관질환에서 N-terminal pro-natriuretic peptide (NT-proBNP)는 심실의 부하를 반영하는 지표로 잘 알려져 있다. 하지만 임신성 고혈압 환자에서의 NT-proBNP의 의의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임신성 고혈압의 심한 정도에 따른 NT-proBNP의 변화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전자간증 혹은 자간증 산모 34명과 정상 혈압의 산모 35명에서 NT-proBNP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16명(중증 전자간증 산모 14명, 경증 전자간증 산모 1명, 정상 혈압 산모 1명)에서 심초음파를 시행하였고, NT-proBNP와의 관련성을 평가하였다. 결과 : 정상 산모, 경증 전자간증 및 중증 전자간증에서의 NT-proBNP의 농도는 각각 78.7±76.1, 145.3±131.4, 1036.9±2126.4 pg/mL로 중증 전자간증 산모에서 의미있게 더 증가되어 있었다 (p=0.015, Fig 1). NT-proBNP는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수축기 혈압: r=0.408, p=0.001, 이완기 혈압: r=0.422, p<0.001). 16명에서 시행한 심초음파에서 좌심실 구혈율의 중간값은 65% (44-73%)였고, 1명에서만 수축기능 저하를 보였다. 심초음파 소견 중에서 좌심실 구혈율이 단변량분석에서 NT-proBNP와 역상관관계를 보였지만 선형회귀분석에서는 통계적인 의의가 없었다. NT-proBNP 60 pg/mL 미만을 기준(Fig 2)으로 하였을 때 전자간증과 중증 전자간증에 대한 음성 예측율은 84%와 92%였다. 결론 : 중증 전자간증 산모에서 심초음파 소견은 정상 소견을 보이지만, NT-proBNP가 증가되어 있었다. 향후 NT-proBNP 증가에 대한 심실부하 혹은 신경-호르몬 기전에 대한 연구와 예후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겠다.
̹ 󼼺


[ư]


logo 학술대회일정 사전등록안내 초록등록안내 초록등록/관리 숙박 및 교통 안내 전시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