мȸ ǥ ʷ

ǥ : ȣ - 510446   154 
Blood pressure variability and insulin resistance in untreated hypertensives
한림대학교 한강성심병원
김민규, 박 경하, 박 우정, 김 성환, 오 동진
배경: 혈압 자체와는 독립적으로, 혈압 변동성은 목표 장기 손상이나 심혈관 질환 이병률 및 사망률과 연관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동물 시험에서 증가된 혈압 변동성이 NO 생성을 방해하여 내피 세포 기능 장애를 유발됨이 보고되었고, 인슐린은 내피 세포에서 NO 생성을 촉진에 관여하는 혈관 작용이 있다. 본 연구는 처음 진단된 고혈압 환자에서 혈압 변동성과 인슐린 저항성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6년 1월부터 연속적으로 15-70세의 처음 고혈압 진단을 받는 환자에서 24시간 활동 혈압 검사, 심초음파, 맥파 속도 측정, 상완 동맥 기능 검사, 경동맥 내막-중막 두께 측정 및 혈액 검사를 시행하였다. 인슐린 저항성은 HOMA-IR을 기준(≥ 2.7)으로 분류하였고, 24시간 활동 혈압 검사상 혈압 측정은 낮 시간은 15분, 저녁 시간은 20분 간격으로 시행하였다.결과: 총 80명중 67명 (84%)이 검사를 완료하였다. 인슐린 저항성은 20명 (30%)에서 관찰되었고, 비만 (75% vs. 38%, p=.006)하였고, 남성 (85% vs. 60%, p=.043)에서 보다 많았다. 양군간의 차이는 표 1과 같다.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 분석상 비만 (B=2.057, p=.018, Exp(B)=7.82, 95% C.I.=1.424, 42.939)과 야간 수축기 혈압의 변동성 (B=.293, p=.010, Exp(B)=1.34, 95% C.I.=1.072, 1.675)이 고혈압 환자에서 인슐린 저항성과 연관되었다. 결론 고혈압 환자에서 지속적으로 높은 혈압과 함께 높은 혈압 변동성은 인슐린 저항성과 연관됨을 관찰하였다. 고혈압을 포함한 대사성 증후군 환자의 치료에 강압 효과뿐 아니라 혈압 변동성의 조절을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Table 1. characteristics and BP values of study population

 

IR+ group (N=20)

IR- group (N=47)

P value

24H systolic BP (mmHg)

149.2 ± 15.1

141.6 ± 11.3

.026

Awake SBP

153.9 ± 14.8

145.7 ± 12.2

.021

Night SBP SD

12.3 ± 4.1

10.1 ± 2.7

.011

Night MBP SD

10.5 ± 3.9

8.8 ± 2.9

.049

IVSd (mm)

12.3 ± 2.0

11.1 ± 1.6

.026

LVIDd

49.4 ± 5.7

46.6 ± 4.6

.040

LVPWd

11.5 ± 1.8

10.1 ± 1.2

.001

LVMI (g/M2)

17.4 ± 29.6

102.6 ± 19.5

.018

Creatinine

0.98 ± 0.17

0.88 ± 0.18

.034

triglycerid

220.3 ± 123.4

130.0 ± 34.6

.001



[ư]


logo 학술대회일정 사전등록안내 초록등록안내 초록등록/관리 숙박 및 교통 안내 전시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