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대회 안내 사전등록 안내 초록등록 안내 초록등록/관리 숙박및교통 안내


мȸ ǥ ʷ

ǥ : ȣ - 500805   244 
폐동맥 혈전색전증에서 폐동맥의 폐쇄정도와 임상경과 및 혈청효소와의 관련성
대구가톨릭의대 순환기내과
최지용, 이영수, 이진배, 류재근, 김기식, 장성국
배경: 폐동맥 혈전색전증은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예후에 큰 영향을 미치는 질환으로 그 중증도를 판단하여 적절한 치료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폐동맥 혈전색전증의 치료는 임상양상을 기준으로 결정하게 되나 해부학적인 폐쇄 정도와 임상경과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는 폐동맥 혈전색전증시 증가하는 d-dimer, pro-BNP, troponin-I를 측정하고 흉부전산화단층촬영을 시행하여 해부학적인 중증도를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임상양상과 비교하였다. 방법: 폐동맥 혈전색전증으로 진단된 환자 27명(남자:33.3%, 여자:66.7%, 평균 연령:69.7±9.7세)을 대상으로 d-dimer, pro-BNP, troponin-I를 측정하고 수축기혈압(<100mmHg), 심박수(>100/분), 호흡수(>25/분) 및 PaO2(75 mmHg) 등의 임상소견을 점수화(임상지표:각 1점, 총 4점) 하여 CT 폐쇄지표(obstruction index)와 비교하였다. CT 폐쇄지표(obstruction index)는 흉부전산화단층촬영을 시행하여 혈전이 있는 폐동맥 원위부의 구획분지(segmental branch:20개)마다 각 1점씩으로 계산하고 그 폐쇄정도에 따른 가중치(부분 폐쇄:1, 완전폐쇄:2)를 곱하여 백분율로 환산하였다. 결과: d-dimer는 93%(25/27)에서, pro-BNP는 77%(10/13)에서, Tn-I는 68%(15/22)에서 증가되었으며 d-dimer와 pro-BNP의 증가 정도는 임상 양상이나 CT 폐쇄지표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Tn-I는 CT 폐쇄지표가 50 이상인 경우 75%(9/12)에서, 50 이하인 경우 50%(5/10)에서 증가하여 폐쇄정도가 심할수록 양성인 경우가 많은 경향을 보였으며 임상지표와 CT 폐쇄지수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007). 결론: 폐동맥 혈전색전증에서 d-dimer와 pro-BNP의 증가 빈도는 높았으나 증가 정도와 폐동맥의 폐쇄정도와는 상관관계가 없었으며 폐쇄정도가 심할수록 Tn-I의 양성 빈도가 높았고 불량한 임상 양상을 보였다.


[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