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대회 안내 사전등록 안내 초록등록 안내 초록등록/관리 숙박및교통 안내


мȸ ǥ ʷ

ǥ : ȣ - 500357   87 
대동맥 개구부 병변에 대한 약물 용출성 스텐트 삽입 후 장기 결과와 재협착 및 심혈관 사건 발생과 관련 있는 위험인자에 대한 분석
서울아산병원
김상현, , 박덕우, 홍명기, 서일우, 황의석, 이세환, 정영훈, 김영학, 이철환, 김재중, 박성욱, 박승정.
목적: 본 연구는 대동맥 개구부 관동맥 병변에 대한 약물 용출성 스텐트 삽입 후의 장기 결과와 재협착 및 임상사건 발생과 관련 있는 위험인자를 분석하였다. 방법: 2003년 2월부터 2005년 4월까지 대동맥 개구부 병변에 대하여 약물 용출성 스텐트를 시행 받은 18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안정성 및 효과를 약물 용출성 스텐트가 도입되기 직전까지 일반 금속 스텐트를 시행 받은 172명과 비교하였다. 주요 임상 사건은 사망, Q파 심근경색, 목표혈관 재개술의 발생으로 정의하였다. 결과: 약물 용출성 스텐트를 시행 받은 군은 일반 금속 스텐트를 시행 받은 군에 비하여 고위험의 기저 임상 및 시술 특성을 보였다. 시술 성공률은 약물 스텐트 군에서 99.5%, 일반 스텐트 군에서 100%였다 (p=1.0). 재협착 (10.5% vs. 26.0%, p=0.001) 및 목표혈관 재개술 (4.3% vs. 11.6%, p=0.011)의 빈도는 약물 스텐트 군에서 유의하게 작았다. 시술 후 1년째 주요 임상사건 발생은 약물 스텐트 군에서 6.5%, 일반 스텐트 군에서 13.4% 발생하였다 (p=0.030). 다변량 분석상 이식혈관 스텐트 시술 (odds ratio[OR] 10.09, 95% CI 1.18-55.26, p=0.037), 재협착 병변 스텐트 시술 (OR 4.38, 95% CI 1.12-19.39, p=0.048), 참조 혈관의 직경 (OR 0.15, 95% CI 0.03-0.63, p=0.010)이 재협착과 관련 있는 독립적인 위험 인자였다. 임상사건 발생에 있어서는 참조혈관 직경 만이 1년째 주요 임상 사건 발생과 관련 있는 주요 인자 였다 (hazard ratio 0.20, 95% CI 0.05-0.75, p=0.017). 결론: 대동맥 개구부 관동맥 병변에 대한 약물 용출성 스텐트 시술은 매우 안전하게 시행되었으며 기존의 일반 금속 스텐트에 비하여 재협착 및 주요 임상 사건의 발생을 유의하게 낮추었다. 이식혈관 및 재협착 병변에 대한 스텐트 시술 및 참조혈관 직경 등이 대동맥 개구부 병변에 대한 약물 스텐트 시술 후 후기 재협착 또는 주요 임상 사건 발생과 관련 있는 독립적인 위험 인자 였다.


[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