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대회 안내 사전등록 안내 초록등록 안내 초록등록/관리 숙박및교통 안내


мȸ ǥ ʷ

ǥ : ȣ - 490380   306 
심방중격결손의 비수술적 폐쇄술후 발생한 합병증에 관한 연구
부천 세종병원 소아과
장기영, 이재영, 김수진, 심우섭
목적: 심방중격결손의 경피적 폐쇄술은 최근 점차 확대되어 개심술을 대체할 수 있는 치료법으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지만, 기구 사용에 따른 합병증도 드물게 보고 되고있다. 최근 2년동안 세종병원에서 시행된 심방중격결손의 경피적 폐쇄술 후의 합병증을 알아보고, 기구 사용에 대한 문제점과 그 해결책을 알아 보고자 한다. 방법 및 결과: 2003년 7월부터 2005년 6월까지, 심방중격결손 또는 난원공의 경피적 폐쇄술을 시행한 47명(심방중격결손:45명, 난원공: 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시술 당시의 평균 나이는 19.3세(2.6-56세), 평균 체중은 40.7 kg(13-100 kg) 이었다., 경흉부 심장 초음파 검사상 결손의 평균 크기는 14.9 mm(6-28 mm), 풍선 확장시 결손의 평균 크기는 18.2 mm(6.5-30 mm), 사용되었던 Amplatzer septal occluder(ASO)의 평균 크기는 18.6 mm(6-30 mm)로, 확장시 결손의 크기와 거의 같은 크기의 기구가 사용되었다. 시술 직후 경식도 초음파에서는 대부분의 환자가 양쪽 disc사이로 약간의 잔존 혈류가 있었으나, 1명의 환자를 제외하고는 시술 후 다음 날 또는 한 달후 확인한 심장 초음파에서 잔존 단락이 없었다. 경피적 시술 후 발생한 합병증으로는 Aorta to right atrial fistula(1례), hemolytic anemia(1례), cobrahead malformation(1례), mitral valve encroachment(1례), malposition(1례), IVC perforation(1례), 및 residual leak(1례) 등이 있었다. Aorta to right atrial fistula와 이로 인한 용혈성 빈혈과 혈뇨를 일으켰던 환자는 수술을 통하여 기구를 제거하고, 심방중격결손 및 fistula를 교정하였다. cobrahead malformation이 발생했던 환자는 retrieval후 다시 모양을 바로 잡은 후 재시도하여 기구를 설치하였다. 7세환아에서 26 mm ASO를 삽입한 후 기구의 일부가 승모판막에 닿은 환자는 현재 추적 관찰 중이다. Malposition은 기구 삽입후 좌심방쪽의 disc가 우심방쪽으로 slipping 된 경우이며, 현재 관찰 중에 있다. Small residual leak가 있었던 경우는 또 하나의 작은 심방중격결손이 있었던 경우였다. 결론: 심방중격결손의 경피적 폐쇄술은 수술을 대체할 수 있는 안전하고 효율적인 치료법이라 생각된다. 그렇지만 cardiac perforation, fistula formation 및 급사와 같은 심각한 합병증이 드물게 발생할 수 있으므로, 시술전 심방중격결손의 정확한 해부학적 이해가 요구되며, 합병증을 일으키기 쉬운 고위험군 환자의 경우는 시술 후 주의 깊은 관찰과, 합병증 발생시 조기 발견과 이에 대한 신속한 치료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