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대회 안내 사전등록 안내 초록등록 안내 초록등록/관리 숙박및교통 안내


мȸ ǥ ʷ


Warning: getimagesize(/home/virtual/circulationadmin/htdocs/econgress/conference/abstract/img_files/dti.jpg) [function.getimagesize]: failed to open stream: No such file or directory in /home/virtual/circulationadmin/new/econgress/conference/manage/schedule/view_abstract.php on line 164
ǥ : ȣ - 490297   116 
일차적 관동맥 중재술로 치료 받은 급성 전벽 심근경색증 환자에서 myocardial contrast echocardiography로 측정한 관류 결손 영역의 크기와 tissue Doppler imaging으로 측정한 국소 심근 수축력의 상관 관계
울산의대 서울아산병원 심장내과
박용현, 이은영, 황은순, 박덕우, 김미정, 박창범, 이세환, 강덕현, 송재관
배경 및 목적 : 일상적인 심초음파 검사의 일부인 tissue Doppler imaging(TDI)을 이용한 국소 심근 수축력의 평가가 급성 심근 경색증 환자의 성공적인 혈관 재개통술 이후에 관찰되는 no reflow phenomenon(NRP)에 대하여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일차적 관동맥 중재술을 성공적으로 시행받은 24명의 급성 전벽부 심근 경색 환자를 대상으로 시술 후 24시간 이내에 TDI와 home-made PESDA를 이용한 intravenous myocardial contrast echocardiography(MCEIV)를 시행하였다. TDI는 심첨부 중격의 중간부위에서 peak systolic myocardial velocity(Vpeak)와 longitudinal strain(LS)을 측정하였다. MCEIV는 power angiography mode의 intermittent imaging technique(1:10)을 사용하여 apical 4 chamber view에서 수축기 말에 보이는 관류 결손 영역(perfusion defect:PD)을 planimetry로 측정하였다. 결과 : 성공적으로 재관류된 심첨부 중격 심근의 Vpeak은 1.9±0.9cm/s(0.7~3.6cm/s), LS는 -4.0±9.7%(-20.8~9.5%)의 범위를 보였다. 심첨부 중격의 Vpeak은 1:10 beat imaging에서의 PD의 크기와 유의한 상관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r=-0.29, p=0.179)(Figure, left). 그러나 심첨부 중격의 peak systolic LS와 1:10 beat imaging에서 구한 PD의 크기는 유의한 양의 상관 관계를 보였다(r=0.047,p=0.042)(Figure, right). 결론 : 성공적으로 재관류 된 심근에서 longitudinal systolic function의 분포는 광범위하였으며 TDI를 이용하여 측정한 systolic LS는 좌심실 재형성이나 기능 회복을 예측하는 미세혈관 손상의 유용한 지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


[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