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대회 안내 사전등록 안내 초록등록 안내 초록등록/관리 숙박및교통 안내


мȸ ǥ ʷ

ǥ : ȣ - 490110   205 
Awake Off-Pump CABG; Initial Experience
서울대학교병원 흉부외과
김기봉, 조광리, 손국희
배경; 국내에서는 시도되지 않았던 경막외 마취를 이용한 심박동하 관상동맥우회술을 3예에서 성공적으로 시행하였다. 방법 및 결과; (동영상 포함) 첫번째의 72세 남자는 백내장 수술을 위한 검사 도중 관동맥질환을 진단 받았으며 양측 내경동맥 협착과 대뇌 전-측두엽의 혈류 감소가 동반되어 수술중 뇌졸중 발생의 위험이 높을 것으로 예측되었다. 수술 당일 아침 T1 level 에 경막외 도관을 삽입한 후 lidocain 및 sufentanyl을 투약하고 T1-10까지의 sensory block이 확인된 후 수술을 시행하였다. 좌, 우내흉동맥을 박리하여 좌전하행지와 둔각변연지에 문합을 시행하였으며 수술 1일째 시행한 관상동맥조영술 상 모든 우회도관이 개통되어있음을 확인하였다. 두번째의 68세 남자는 급성심근경색으로 치료 받은 과거력이 있었으며 흉통으로 내원하여 2 vessel disease 진단 받았다. 수술 당일 아침 T1, T8-9 level에 두개의 경막외 도관을 삽입 후 먼저 개복술을 시행하여 우위대망동맥을 박리하고 흉골절개후 좌내흉동맥을 박리한 후 우위대망동맥을 좌내흉동맥에 연결하여 복합이식편을 만든 후 좌전하행지와 후하행지동맥에 문합하였다. 세번째의 53세의 환자로 식도암 수술을 위한 검사에서 좌전하행지 병변을 발견하였다. 경막외 마취를 이용하여 좌내흉동맥을 좌전하행지에 문합하는 심박동하 관상동맥우회술을 시행하였다. 결론; 경막외 마취를 이용하여 심박동하 관상동맥우회술은 경막외 마취 자체가 관상동맥 및 내흉동맥의 혈류를 늘리고 서맥을 유도하여 심근보호 효과가 있으며 전신 마취에 따르는 심폐기능 저하를 피할 수 있으며 수술 중 의식 상태를 바로 알 수 있어 뇌혈관질환이 있는 환자에서 도움이 될 수 있다. 전신마취를 피함으로써 수술 직후 환자의 거동이 가능해지고, 중환자실 체류시간을 최소화한 후 일반병동으로의 이송이 가능하여 심장수술에 대한 환자의 불안감을 줄이고 만족도도 높일 수 있다. 그밖에 척추마취의 효과 때문에 수술 후 통증을 거의 느끼지 않으며, 심장수술 후 흔히 발생하는 심방세동과 같은 부정맥의 발생도 보고되지 않는 장점도 있다. 이러한 수술법은 특히 고위험군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향후 점차 그 적용 범위가 확대될 것으로 생각되며, 궁극적으로는 관상동맥우회술 후 당일 또는 그 다음날이면 퇴원하여 귀가하는 것이 가능해 질 것으로 기대된다.


[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