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대회 안내 사전등록 안내 초록등록 안내 초록등록/관리 숙박및교통 안내


мȸ ǥ ʷ

ǥ : ȣ - 490061   142 
Tissue Doppler imaging을 이용한 소아 종양 환자에서의 심기능 평가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김여향, 권태찬
목적:항암제의 개발,골수,조혈모세포 이식 증가로 백혈병과 고형 종양을 가진 환아들이 장기 생존하게 되면서 치료에 따른 심독성에 크게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항암제에 의한 심독성을 파악하는데 가장 적절한 방법은 비침습적이면서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심초음파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아암으로 치료중이거나 치료 종료한 환아를 대상으로 tissue Doppler imaging을 사용하여 심실 기능을 평가하고, 향후 동질환의 환아에서 치료에 의한 심독성을 조기에 발견하기 위한 방법으로 반복적인 tissue Doppler imaging을 적용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방법:2005년 4월 1일부터 7월 1일까지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에서 항암 치료 중이거나 항암 치료 종료된 환아 2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전체 대상 환아군(1군)을 FS 29% 이상(2군), 28% 이하(3군)로 나누고, anthracyclin 사용군(4군)과 미사용군(5군)으로 다시 나누었다. M-mode와 conventional Doppler를 이용하여 FS, EF, 승모판막으로 유입되는 혈류의 E, A 속도, DT, IVRT를 측정하였고,tissue Doppler imaging을 이용하여 심첨 4, 2 방도에서 중격, 전벽, 하벽, 측벽의 기저부, 중간, 심첨 부위의 Sm, Em, Am 속도를 측정하였다. 측정한 값을 이용하여 modified Tei index, E/A, E/Em ratio 를 구하였다.결과:환아의 평균 나이는 8년 4개월,남아 12명, 여아 11명이었다. anthracyclin을 사용한 환아(4군)은 13명이었고,FS이 28% 이하인 환아(3군)은 6명이었다. 환아군과 대조군간에 성별, 나이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대조군과 1군의 E/Em ratio는 4.36±0.84, 6.43±1.16로 두 군간에 P value<0.05 로 의미있는 차이가 있었으나 다른 측정값들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대조군과 2, 3, 4, 5군 간에도 E/Em ratio는 P value<0.05로 의미있는 차이가 있었다. 또한 2, 3군과 4, 5군 간에는 측정값들의 군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좌심실 평균 이완기압을 반영한다고 알려져 있는 E/Em ratio에서 대조군과 항암 치료 군간에 차이가 확인됨으로써 항암 치료 이후의 심장 기능 부전은 수축기 기능 장애가 아닌 이완기 기능 장애가 먼저 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심장 이완 기능을 평가하는conventional Doppler parameter들에서는 두 군간에 차이가 없음으로 이완기 기능을 평가하는데는 tissue Doppler imaging을 이용하는 것이 더 민감한 방법이었다. 따라서 항암 치료 이후에도 장기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심장 기능에 대한 잦은 추적 관찰이 필요하겠고, 추적 관찰하는 방법으로는 tissue Doppler imaging을 사용한 심초음파 검사가 가장 비침습적이고 간편하며 믿을 만한 방법이 될 것이다.


[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