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대회안내사전등록초록등록안내초록등록/관리숙박 및 교통
초록심사

мȸ ǥ ʷ

ǥ : ȣ - 480750   295 
소아환아에서 시행한 기계적 순환보조
서울아산병원 흉부외과
박정준, 이영화, 윤태진, 서동만
목적:심장질환을 갖고 있는 소아환아에서 심폐기능부전시 일반적인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 기계적 순환보조가 치료의 한 방법이 될 수있다.이에 서울아산병원에서 기계적 순환 보조를 적용한 심장질환 환아의 경험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2년 5월부터 2004년 3월까지 14명의 환아에서 기계적 순환 보조를 시행하였다. 평균체중은 7.8 ±5.8Kg(범위:2.2-22.8)이였다.ECMO가 13명, VAD가 1명이었으며 ECMO를 적용받은 환아중 3명은 후에 VAD로 전환하였다. 적응증은 수술 후 시행한 경우가 13례로 심폐기 이탈에서 실패한 경우가 6례, 수술 후 불안정한 혈역학에 의한 경우가 7례였고 심근염에 의한 심근부전이 1례였다. 수술은 단심실환아에서 시행한 고식적 수술이 4례, 완전 교정술이 9례였다. 결과: 순환보조시간은 90±49시간(범위:20-172시간)이었고 7명에서 (50%) 순환보조로부터 이탈가능하였고, 이중 3명(42.9%,3/7)이 생존하였다. 고식적 수술을 받은 4명의 환아중 2례가 순환보조에서 이탈가능하였으나 생존자는 없었으며 완전교정술을 시행받은 9명의 환아에서는 5례가 이탈가능하였고 그중 2례의 생존자가 있었다. 심근염에 의한 순환보조를 받은 1례도 생존하였다. 결론:심장질환을 갖고 있는 환아에서 기계적 순환보조의 적용은 아직 여러가지 제한점이 많으나 보다 적극적인 적용과 임상례가 축적되면 성적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