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대회안내사전등록초록등록안내초록등록/관리숙박 및 교통
초록심사

мȸ ǥ ʷ

ǥ : ȣ - 480448   196 
긴 관동맥 병변에서의 약물 방출 그물망 삽입의 임상적 효과:가톨릭의대 다기관 임상연구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순환기 내과학 교실
신동일, 승기배, 김동빈, 허성호, 김범준, 박철수, 유기동, 문건웅, 장기육, 백상홍, 정욱성, 김종진, 김철민, 홍순조, 최규보
서론 : 긴 관동맥 병변의 치료에 있어 일반 금속 그물망의 좋지 못했던 결과에 비해, 최근 보고에서 약물 방출 그물망은 좋은 결과를 보였다. 국내에서는 이것에 대한 자료가 충분치 않아서, 본 연구에서는 전향적 추적 검사 및 임상 고찰을 통해 긴 관동맥 병변에서 약물 방출 그물망의 효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다기관, 전향적 연구로서 2003년 4월부터 2004년 7월까지 Catholic Medical Center에서 30mm 이상의 병변으로 1개 이상의 약물 방출 그물망을 시술 받은 173명의 환자, 178 병변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물망 시술직후 및 추적 관동맥 조영술시에 QCA를 시행하였고, 시술 후부터 현시점까지의 평균 MACE 를 조사하였다. 결과 : 총 178 병변중 재협착 병변이 18%, 신생 병변이 82%였고, 위치로는 좌전하행지가 59.0%로 가장 많았으며, 완전폐쇄 병변이 34.4%였다. 사용 그물망은 Cypher 73.9%, TAXUS 25.4%, 두가지 조합이 0.7%였다. 병변당 그물망 수는 1.46±0.51개 였고, 평균 길이 40.5±10.05mm, 평균 지름 3.10±0.23mm였다. 173명중 57명(32.9%)이 시술 5.6±2.5개월 후 추적 관동맥 조영술을 시행 받았다. 그 결과 재협착율은 5.26% 였으며, 그물망내 late loss는 0.20±0.46mm였다. 그물망 종류별 재협착율은 TAXUS가 15%였고, Cypher 및 두가지를 조합한 경우는 각각 0% 였다. 전체 173명에 대한 시술 후 평균 6.3±4.1개월 후 임상 추적 결과, 사망자는 없었으며 심근경색증이 1명(0.58%) 발생하였다. 표적병변 재개통술은 심근경색증 1명 포함 총3명(1.73%)에서 시행되었고, CABG를 시행 받은 환자는 없었다. 총 MACE 발생율은 1.73% 였다. 결론 : 30mm 이상의 긴 관동맥 병변에 대한 약물 방출 그물망은 조영술 소견이나 임상적으로 훌륭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Post -procedure

Prox. 5mm

In-stent

Dist. 5mm

Ref. Diameter (mm)

2.83±0.47

2.86±0.51

2.52±0.39

Minimal D (mm)

2.61±0.46

2.46±0.45

2.23±0.46

F/U (5.6±2.5mo)

Prox. 5mm

In-stent

Dist. 5mm

Ref. Diameter (mm)

2.78±0.49

2.82±0.52

2.44±0.39

Minimal D (mm)

2.45±0.52

2.26±0.55

2.05±0.46

Late Loss (mm)

0.16±0.18

0.20±0.46

0.18±0.34

Restenosis rate %

5.26% (follow up CAG was done in 32.9%)



[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