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로그인

мȸ ǥ ʷ

ǥ : ȣ - 470640   97 
당뇨병 환자에서 관상동맥 중재술 후 재협착과 염증반응에 대한 상용량 Statin의 효과
전남대학병원 심장센터
박형욱, 정명호, 임지현, 김한균, 홍영준, 김주한, 김원, 안영근, 조정관, 박종춘, 강정채
배경:당뇨병은 허혈성 심질환의 독립적 위험인자이며 자체로 전신 및 국소 염증반응과 관련이 있음이 보고 되고 있다.Statin은 항염증작용에 대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본 연구는 당뇨병 환자에서 statin 치료가 관상동맥 중재술 후 염증반응과 재협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2002년 6월부터 12월까지 당뇨병과 관상동맥 질환의 진단하에 중재술을 시행 받았던 124명을 대상으로 고지혈증이 있어 statin을 투약한 군을 I군 (58, 남:여=37:21, 62±7세), 고지혈증이 없어 statin을 투약하지 않은 군을 II군 (66, 남:여=45:21, 64±8세)으로 하여 백혈구, 지질지표, 염증반응 표지자 등을 관상동맥 중재술 전과 6개월 후에 측정하였다. 6개월째 추적 관상동맥 조영술을 시행하였고 주요 심장사건을 관찰하였다. 결과:양군에서 연령, 성별, 진단명, 당뇨병의 유병기간, 당뇨병의 조절정도 (HbA1C), 치료방법 등에는 차이가 없었다. 관상동맥 중재술 전 및 6개월 후 백혈구, 단핵구수, 단핵구 분율, ESR은 차이가 없었다. 정량적 CRP는 I군 1.47±1.05 mg/dL, II군 1.29±2.30 mg/dL으로 차이가 없었고 high sensitivity(hs) CRP는 I군 1.31±1.17 mg/dL, II군 1.40±1.29 mg/dL으로 양 군간 차이가 없었다 (각각 p=0.631, 0.413). 기저 상태 총 콜레스테롤 I군 219±48 mg/dL, II군 164±27 mg/dL, LDL-cholesterol I군 155±18 mg/dL, II군 89±19 mg/dL, Triglyceride I군 148±55 mg/dL, II군 143±56 mg/dL, HDL-cholesterol I군 41±13 mg/dL, II군 43±15 mg/dL으로 총 콜레스테롤과 LDL-cholesterol 수치가 I군에서 현저하게 높았다 (각 p<0.001). 6개월 후 검사에서 ESR은 차이가 없었다 (p=0.962). 정량적 CRP는 I군 0.48±0.49 mg/dL, II군 0.57±0.70 mg/dL으로 차이가 없었으며 hs CRP는 I군 0.25±0.28 mg/dL, II군 0.30±0.42 mg/dL으로 차이가 없었다 (각각 p=0.413, 0.541). 총 콜레스테롤 I군 158±32 mg/dL, II군 152±35 mg/dL, LDL-cholesterol I군 104±36 mg/dL, II군 105±42 mg/dL, Triglyceride I군 118±131 mg/dL, II군 122±147 mg/dL, HDL-cholesterol I군 45±11 mg/dL, II군 44±10 mg/dL 으로 양군간 차이가 없었다 (각각 p=0.642, 0.478, 0.679, 0.756). 6개월 추적 관찰 동안 사망한 예는 I군 1명 (1.7%), II군 1명 (1.5%) 급성 심근경색증이 I군 2명 (3.4%) 추적 관상동맥 조영술상 재협착이 있어 재개통술이 필요했던 경우가 I군 12명 (20.7%), II군 10명 (15.1%)이었다. 결론: 당뇨병 환자에서 6개월간 상용량의 statin 투여는 관상동맥 중재술 후 재협착과 주요 심장사건 발생율을 대조군 수준으로 낮추었으나, 염증반응은 감소시키지 못하였다.


[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