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로그인

мȸ ǥ ʷ

ǥ : ǥ ȣ - 470413   91 
판막 질환에서의 심근 섬유화; 심근 조직을 이용한 형태학적 연구 및 혈청 생화학적 지표의 분석
울산대학교 서울 아산 병원 심장내과¹, 흉부외과² , 병리과 ³
송재관¹, 강수진¹,박덕우¹,,박경민¹,송종민¹,강덕현¹,한기훈¹,송현²,이재원²,주석중², 송명근²,김정선³
배경:판막 질환에서 간질 콜라겐의 비정상적 증가로 병적 심비대 및 심실 기능 장애가 초래됨이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대동맥판막 폐쇄부전(AR), 대동맥판막 협착증(AS) 및 승모판막 폐쇄부전(MR)에서 심근 조직 섬유화를 정량적으로 측정하고, 콜라겐 대사에 관여하는 혈청 생화학적 지표들을 측정, 심실 부하 형태에 따른 심근 섬유화 양상을 비교 분석하였다. 방법:2001년 9월-2003년 3월, 수술을 앞둔 AS 환자 21명, AR 23명, MR 29명의 혈청에서 콜라겐 합성을 반영하는 PINP/PIIINP(aminoterminal propeptide of type I/III procollagen)와 대표적 non-collagenous extracellular matrix인 fibronectin 및 콜라겐 분해의 지표인 carboxy-terminal telopeptide of collagen type I(CITP), 콜라겐 파괴 효소인 matrix metalloproteinase 1(MMP-1)와 이의 억제효소인 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 1(TIMP-1)등 6가지 생화학적 지표들을 측정하고. 심초음파상 좌심실 질량을 구하였다. 이들 중 AS 11명 AR 8명, MR 13명에서 수술 중 채취된 심근 조직의 picrosirius red stain을 이용하여 collagen volume fraction(CVF)이 측정되었다. 결과:CVF은 AS군 13±3%, AR군 10±3%, MR군 6±3%로 각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001), 좌심실 질량도 AS와 AR 환자들에서 보다 증가되어 있었다(p<0.001). Fibronectin은 MR군에 비해 AS군과 AR군에서 증가되어 있었으며(p<0.001), CITP와 MMP-1은 MR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5). 그러나, PINP/PIIINP는 세 군에서 유사하였고(P>0.05), AS군과 AR군 사이에 생화학적 지표들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전체 환자에서 다변량 분석상 fibronectin은 CVF(r=0.388, p=0.01) 및 좌심실 질량(r=0.278, P=0.02)과 양의 관계를 갖는 유일한 지표이었다. 결론:판막질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기전을 통하여 심근간질이 유지되며, 비콜라겐성 간질 물질인 fibronectin이 심비대의 발생에 있어 중요한 인자임을 알 수 있었다.

 

AS (N=21)

AR (N=23)

MR (N=29)

P value

PINP (ng/ml)

49±20

48±15

52±20

0.734

PIIINP (ng/ml)

9±12

8±12

5±2

0.356

CITP (ng/ml)

6±5

9±8

18±19

0.006

Fibronectin (ng/ml)

1514±367

1536±399

700±195

<0.001

MMP-1 (ng/ml)

11±12

8±7

19±19

0.021

TIMP-1 (ng/ml)

174±51

171±59

163±41

0.712



[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