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로그인

мȸ ǥ ʷ

ǥ : ȣ - 470191   131 
심근교의 중등도와 임상 양상 및 예후와의 관련성에 대한 고찰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 교실
김정수, 송성국, 이태근, 최재훈, 박용현, 정준훈, 김준홍, 전국진, 홍택종, 신영우
목적:심근교는 발생학적 원인으로 인해 대부분의 경우 좌전방하행 동맥에서 관찰되며, 임상적으로는 전형적 흉통과 비전형적 흉통 및 심근 경색, 부정맥, 급성 심장 돌연사 등을 일으킬 수 있으나 대다수에서는 양호한 임상적 경과를 보인다. 저자들은 관상 동맥 조영술을 통해 심근교로 진단된 3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이들의 임상 양상과 의의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2003년 1월부터 2003년 6월까지 본원 심혈관 센터에서 시행한 관상동맥 조영술 738례 중 심근교가 관찰되었던 31명의 환자를 수축기 폐쇄정도에 따라 두군(1군:50% 미만의 폐쇄, 2군:50% 이상의 폐쇄)으로 나누어 두 군의 임상 역학과 흉통의 특징 및 검사 결과들을 비교하였다. 결과:두군간에 성비와 연령 그리고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흡연 등 위험인자들의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 흉통의 정도를 CCS 분류를 기준으로 했을때 1군과 2군간의 통계학적 유의성은 보이지 않았다(p=0.620). 환자들은 모두 베타 차단제 혹은 칼슘 길항제에 임상적 호전을 보였으며, 단기간 경과 관찰(평균 관찰 기간: 125일)에서 주요 심혈관 합병증의 발생은 없었다.
Plus Web Editor Control By Ensys co., Ltd

 

group 1

group 2

p-value

total(%)

number(명)

15

16

 

31

male:female

7:8

6:10

ns

13:18

age(세)

53.7

56.4

ns

55.1

동반질환

hypertension(명)

4

7

ns

11(35.5)

diabetes(명)

1

1

ns

2(6.4)

고지혈증(명)

4

5

ns

9(29.0)

사회력

흡연력(명)

5

8

ns

13(41.9)

resting heart rate(회/분)

60.2

64.75

ns

63

흉통

비전형적

7

7

ns

14(45.1)

전형적

CCS I-II

6

5

ns

11(35.5)

CCS III-IV

2

4

6(19.4)

LVH on echocardiography(명)

2

4

ns

6

treadmill

test

positive(명)

1

3

ns

4(28.6)

negative(명)

2

4

6(42.8)

insufficient(명)

2



[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