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로그인

мȸ ǥ ʷ

ǥ : ȣ - 470159   137 
방실 중격결손 수술에서 좌측 mural leaflet 크기의 중요성
부천세종병원 소아과, 흉부외과¹
송진영, 장기영, 이재영, 김수진, 심우섭, 김웅한¹ ,황성욱¹
서론 : 방실 중격결손의 수술에 있어서 좌측 방실 판막의 cleft는 최근 대부분 봉합해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로 인해 재수술의 빈도를 줄일 수 있었다. 그러나 좌측 방실 판막의 mural leaflet의 크기가 작아 완전 봉합이 수술 수 판막협착을 유발할 수 있는 사례들을 통해 좌측 mural leaflet크기의 중요성을 알아보았다. 방법 : 방실 중격결손 환자의 수술 전 혹은 수술 당시의 관찰에서 좌측 mural leaflet이 작았던 6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좌측 mural leaflet의 크기를 좌심실 꼭지근을 통해 조사하고 그 위치들을 다른 방실 중격결손 환자들과 비교하였다. 꼭지근의 위치는 심장초음파 검사의 short axis view에서 좌심실의 중심으로부터 심실 중격과 후방좌우심실 벽이 만나는 선을 기준으로 각 꼭지근의 각도로 표현하였고 두 꼭지근의 각도 차이를 mural leaflet의 크기로 간주하였으며 아울러 심실 이완기의 좌심실short axis 전후방 직경 대 두 꼭지근의 거리를 비로 표현하였다. 결과 : 1명의 환자를 제외하고 5명의 대상환자는 좌측 mural leaflet의 크기가 작다고 판단되어 cleft를 부분 봉합한 환자였고 한명은 완전봉합을 한 뒤 경도의 판막협착이 온 환자였다. 이들 모두 완전 방실 중격결손 환자로 Rastelli 분류에 의해 A(3명), B(1명), C(2명)으로 나뉘었다. 환자들의 나이와 체중은 각각 19.0±20.8개월, 8.3±5.5Kg이었다. 나이와 체중이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는 6명의 방실 중격결손의 환자들을 대조군으로 하여 동일한 측정을 한 결과 대상환자들의 앞꼭지근과 뒤꼭지근의 위치는 240.3±12.0°과 303.0±25.8°로 대조 환자들에 비해 앞꼭지근이 뒤로 위치한다.(p=0.009) 또한 대상환자들의 mural leaflet크기는 73.3±17.1°로 대조 환자들의 크기(116.4±11.4°)와 비교해서 의미 있게 작았고(p=0.002) 이는 직경 대 거리 비로 표현하여 0.32±0.04 vs. 0.49±0.09로 역시 의미 있는 차이를 나타냈다.(p=0.002) 결론 : 방실 중격결손 수술에서 좌측 방실 판막의 cleft를 봉합하는데 있어서 좌측 mural leaflet의 크기를 반드시 고려하여야 한다.


[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