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로그인

мȸ ǥ ʷ

ǥ : ȣ - 470155   158 
급성 하벽 심근경색증에서 우측 전흉부유도(V1-V3)의 ST절 하강과 좌전하행지 slow flow의 관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심장혈관병원 심장내과
민필기, 고영국, 최동훈, 장양수, 정남식, 심원흠, 조승연
배경 및 목적 : 전흉부 유도의 ST절 하강은 급성 하벽 심근경색증에서 종종 관찰되며 불량한 예후인자로 알려져 있으나 그 기전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다. 한편 급성 심근경색증에서 경색외 관동맥의 혈류 속도 또한 감소되어 있음이 최근의 연구들에서 밝혀지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급성 하벽 심근경색증에서 관찰되는 우측 전흉부유도의 ST절 하강이 좌전하행지의 slow flow와 연관되어 있는지 보고자 하였다. 방법 : 급성 하벽 심근경색증으로 본원에 내원하여 일차적 관동맥 성형술을 시행받은 5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하였다. 심전도상 ST절의 하강은 V1-V3 중 최소한 2개 이상의 유도에서 0.1mV이상 하강한 경우로 정의하였으며 관동맥 혈류는 corrected TIMI frame count(CTFC)로 계산하였다. 결과 : 연구대상 51명 중 남자는 37명(73%)이었고 평균 연령은 61.6±12.5세였다. 흉통 발현 후 응급실에 도착할 때까지의 시간은 평균 3.1±2.7 시간이었다. 내원 당시 심전도상 우측 전흉부유도에서 ST절 하강이 없었던 환자 24명(1군)과 ST절 하강이 관찰되었던 환자 27명(2군)을 비교하였다.(Table 1) 양군 사이에 혈압, 좌심실 구혈율, wall motion score, 좌심실 이완기말압 등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좌전하행지의 CTFC는 2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19.7±7.8 vs 25.1±9.2, p=0.03) 좌전하행지의 유의한 협착(내경의 70%이상)이 있었던 12명을 제외한 경우에도 2군의 CTFC는 유의하게 높았다. (16.7±5.2 vs 25.4±9.9, p=0.003) 결론 : 급성 하벽 심근경색증 환자에서 심전도상 우측 전흉부유도의 ST절 하강이 동반된 경우 CTFC로 측정한 좌전하행지의 혈류 속도가 감소되어 있었으며 이것이 ST절 하강이 일어나는 기전을 일부 설명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lus Web Editor Control By Ensys co., Ltd

Table 1. Comparison of clinical and angiographic data according to the group

 

Group 1 (n=24)

Group 2 (n=27)

p value

Age (years)

62.0±12.4

61.2±12.9

0.83

Male

17(71%)

20(74%)

0.80

SBP(mmHg)

117.9±27.3

130.0±39.7

0.22

EF(%)

49.8±11.6

51.8±7.9

0.49

WMSI

1.5±0.4

1.4±0.3

0.29

LVEDP(mmHg)

19.4±8.2

19.9±5.9

0.86

CTFC of LAD

19.7±7.8

25.1±9.2

0.03

%stenosis in LAD

50.6±33.3

41.7±28.4

0.31



[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