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로그인

мȸ ǥ ʷ

ǥ : ͱ ȣ - 470134   35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후 재협착과 관련된 사이토카인 및 항산화지수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¹ , 진단검사의학과²
온영근¹, 박노진² , 방덕원¹ ,조윤행¹ ,이내희¹ , 현민수¹ , 김성구¹ ,권영주¹
목적 및 배경 :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 시행 후 내피세포의 손상은 산화스트레스를 증가시키고 염증반응을 증폭시켜 혈관평활근세포를 증식시켜 재협착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관상동맥 스텐트 삽입술 시행 전과 추적 관상동맥 조영술 시행시의 항산화상태 및 사이토카인과 재협착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순천향대학병원에서 성공적인 혈관 성형술 및 스텐트 삽입술을 시행하고 추적 관상동맥 조영술을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재협착이 발생한 군 23명과 재협착이 발생하지 않은 대조군 46명을 대상으로 임상양상, 검사실수치와 사이토카인 및 항산화지수를 비교하였다. 사이토카인은 ELISA 방법을 이용하여 R&D Systems의 P-selectin, MCP-1, IL-6, IL-10 kit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항산화지수는 비색측정법(Colorimetric method)를 이용하여 RANDOX Lab의 RANDOX kit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 양 군 간에 나이, 당뇨병 및 고혈압의 유병율, 흡연력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혈관질환의 정도, 중재술을 시행한 혈관부위 및 혈관직경, 스텐트길이 등에 있어서도 양 군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CRP 및 homocystein 수치에서도 재협착군 및 대조군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중재술 전,후의 사이토카인 및 항산화지수는 다음과 같다. 결론 : 중재술이전의 사이토카인 및 항산화지수는 스텐트삽입술 이후의 재협착과 관련이 없었다. 추적 관동맥 조영술시행시의 항산화지수도 재협착과 관련이 없었다. 재협착군에서 추적 관동맥 조영술시행시의 MCP-1 수치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으며 IL-10은 대조군에 비해 낮은 경향을 보였다.
 

중재술전

TAS

(mmol/l)

P-selectin

(ng/ml)

MCP-1

(pg/ml)

IL-6

(pg/ml)

IL-10

(pg/ml)

재협착군

1.4±0.35

4.1±5.12

81.7±64.30

6.1±13.81

33.1±89.62

대조군

1.5±0.44

4.5±6.29

83.4±49.50

7.5±11.42

30.6±77.70

p

NS

NS

NS

NS

NS

추적 관상동맥 조영술시

TAS

(f/u)

P-selectin

(f/u)

MCP-1

(f/u)

IL-6

(f/u)

IL-10

(f/u)

재협착군

1.4±0.43

2.7±1.23

62.0±27.82

0.8±1.68

9.0±13.74

대조군

1.4±0.21

4.4±5.16

87.5±35.89

1.5±5.19

47.2±105.83

p

NS

NS

<0.05

NS

0.10



[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