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로그인

мȸ ǥ ʷ

ǥ : ȣ - 470111   6 
정상 콜레스테롤 수치를 보이는 급성 심근경색증 환자에서 스타틴의 장기 효과
전남대학교병원 심장센터
홍영준, 정명호, 임지현, 박형욱, 김한균, 박옥영, 김주한, 김원, 안영근, 조정관, 박종춘, 강정채
목적 : 스타틴은 지질 저하 효과 이외에 혈소판 유착(adhesion) 억제, 혈전 형성 억제, 내피세포 기능 개선 그리고 염증 반응 조절에도 그 효과가 증명되었다. 정상 콜레스테롤 수치를 보이는 급성 심근경색증 환자에서 스타틴 투여에 따른 장기 임상 경과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방법 : 2001년 1월부터 2002년 6월까지 전남대학교병원 심장센터에 급성 심근경색증으로 내원한 환자 중 총 콜레스테롤이 200 mg/dL 미만이었던 환자 126예를 대상으로 스타틴 투여군을 I군 (60.8±12.4세, 남: 60, 여: 16)으로, 스타틴 비투여군을 II군 (58.5±8.6세, 남: 44, 여: 6)으로 분류하고 양군 사이에 임상적 및 관상동맥 조영술 특성 및 양군에서 1년 주요 심장사고를 관찰하였다. 결 과 : 환자 군의 임상 양상, 내원 시 혈액 검사 소견, 관동맥 조영술 상 특징 그리고 관동맥 중재술의 결과 등에 있어서 양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총콜레스테롤은 I군 171±29 mg/dL, II군 174±33 mg/dL, LDL-cholesterol은 I군 119±20 mg/dL, II군 125±19 mg/dL이었다. 관상동맥 중재술 6개월 이후에 시행한 혈액 검사에서 total cholesterol (I군: 148±45 mg/dL, II군: 168±31 mg/dL), triglyceride (I군: 104±65 mg/dL, II군: 114±75 mg/dL), LDL-cholesterol (I군: 94±34 mg/dL, II군: 118±29 mg/dL), HDL-cholesterol (I군: 49±12 mg/dL, II군: 41±17 mg/dL) 등 지질 대사에서 I군에서 유의한 개선을 보였고, C-reactive protein (I군: 0.4±0.2 mg/dL, II군: 1.2±0.9 mg/dL), fibrinogen (I군: 240±40 mg/dL, II군: 270±60 mg/dL), 백혈구 (I군: 7102±2205/mm3, II군: 7824±2803/mm3), 단핵구 (I군: 505±240/mm3, II군: 633±240/mm3) 등의 염증 표지자 수치에 있어서 I군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1년간 추적 관찰 중 주요 심장사고에 있어서 재협착율이 I군에서 유의하게 낮았고 [I군: 8예(14.3%), II군: 12예(32.4%), p=0.037] 표적 병변 재개통술이 I군에서 유의하게 낮았으며 [I군: 8예(14.3%), II군: 12예(32.4%), p=0.037], 무사고 생존한 경우가 I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I군: 68예(89.3%), II군: 36예(73.5%), p=0.021]. 결 론 : 정상 콜레스테롤 수치를 보이는 급성 심근경색증 환자에서 스타틴을 투여한 경우에 재협착율과 표적병변 재개통술이 의미 있게 감소하였고 1년간 무사고 생존율이 높았다.


[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