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로그인

мȸ ǥ ʷ

ǥ : ȣ - 470100   75 
한국인의 KvLQT1, HERG, KCNE1 유전자의 염기배열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¹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²
김윤년¹, 조윤경¹ ,박형섭¹ ,윤혁준¹ ,이영수¹ , 현대우 ¹ , 한성욱¹ , 허승호¹ , 김기식¹ , 김권배¹ , 유민²
배경: 선천성 QT 연장 증후군(Congenital long QT syndrome, LQTS)은 유전자 변이에 따라 7가지 형태로 분류한다. 그러나 유전자는 인종간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NP)이 존재하므로 유전자 변이나 결함으로 인한 질환의 진단에 SNP와 감별에 어려움이 많다. 이에 저자들은 정상인에서 LQTS의 발현 원인인 KvLQT1, HERG, KCNE1 유전자의 염기배열을 밝혀 선천성 LQTS의 진단에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정상인의 샘플은 임상적으로 정상이라 판명된 성인 남, 여 68명으로부터 동의서를 구하고 혈액을 채취해 분리하였다. 혈액은 매 실험당 200㎕씩 채혈하였고 이로부터 게놈 DNA를 추출하고 이를 주형으로 하여 해당 유전자의 exon을 증폭해낼 수 있는 primer들을 이용해 PCR 반응하였다. 반응 조건은 pre-denaturation을 94℃에서 5분, denaturation을 94℃에서 15-30초, annealing을 42℃-52℃에서 30-120초, extension을 72℃에서 15-30초, post-extension을 72℃에서 5분간 실시하였다. Pre-denaturation과 post-extension을 제외한 나머지 반응은 모두 35회-40회 실시하였다. PCR 반응물은 미세유리구슬(glass beads)을 이용하여 정제하였고 최종 농도가 200ng/㎕ 이상 되도록 조정한 뒤 자동화장치를 이용해 염기서열을 결정하였다. 결과: 임상적으로 정상으로 판명된 건강한 성인 남녀의 유전자를 조사한 결과 KvLQT1과 KCNE1은 Keating들이 보고했던 내용과 크게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HERG 유전자에서는 2개의 변이가 발견되었다. 다음 굵은 글씨는 HERG유전자의 변이 부위이다. 이 2개의 변이는 68명 모두에서 발견되었기 때문에 한국인에서 공통적인 SNP라고 할 수 있다. AAGGGCTGGTTCCTCATCGACATGGTGGCCGCCATCCCCTTCGACCTGCTCATCTTTGGCTCTGGCTCTGAGGAGCTG - 1626 ATCGGGCTGCTGAAGACTGCGCGGCTGCTGCGGCTGGTGCGCGTGGCGCGGAAGCTGGATCGCTACTCAGAGTACGGC - 1704 GCGGCCGTGCTGTTCTTGCTCATGTGCACCTTTGCGCTCATCGCGCACTGGCTGGCCTGCATCTGGTACGCCATCGGC - 1782 결론: 한국인에서 LQTS과 관련된 유전자중 HERG에서 SNP를 확인하였고 이는 LQTS의 유전자적인 진단에 도움을 주리라 생각된다.


[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