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로그인

мȸ ǥ ʷ

ǥ : ȣ - 470077   128 
급성 심근경색증으로 인한 좌심실 기능 부전 환자에서 스타틴 투여의 장기적 임상 효과
전남대학교병원 심장센터
홍영준, 정명호, 임지현, 박형욱, 김한균, 박옥영, 김주한, 김원, 안영근, 조정관, 박종춘, 강정채
목적 : 스타틴은 지질 저하 효과와 더불어 관동맥 질환 환자의 장기 사망률을 줄인다고 알려져있다. 그러나 관동맥 질환으로 인한 좌심실 기능 부전 환자에서 스타틴의 효과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급성 심근경색증으로 내원하여 좌심실 기능 부전을 동반한 환자 군을 대상으로 스타틴 투여에 따른 장기 임상 경과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방법 : 2001년 1월부터 2002년 6월까지 전남대학교병원 심장센터에 내원한 환자 중 좌심실 구혈률이 40% 미만이었던 환자 202예를 대상으로 스타틴 투여 군을 I군 (60.8±10.3세, 남: 76, 여: 30)으로, 스타틴을 투여하지 않은 군을 II군 (60.9±10.4세, 남: 75, 여: 19)으로 분류하고 양군 사이에 임상적 및 관상동맥 조영술 특성 및 양군에서 1년 주요 심장사고를 관찰하였다. 결 과 : 환자 군의 임상 양상, 내원 시 혈액 검사 소견, 관상동맥 조영술 상 특징, 그리고 관상동맥 중재술의 결과 등에 있어서 양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좌심실 구혈률은 I군 30.8±10.0%, II군 31.9±9.6%이었다. 관상동맥 중재술 6개월 이후에 시행한 혈액 검사에서 C-reactive protein (I군: 0.6±0.4 mg/dL, II군: 1.8±1.2 mg/dL), total cholesterol (I군: 159±31 mg/dL, II군: 178±33 mg/dL), triglyceride (I군: 108±54 mg/dL, II군: 134±90 mg/dL), LDL-cholesterol (I군: 98±36 mg/dL, II군: 123±29 mg/dL), fibrinogen (I군: 255±55 mg/dL, II군: 288±71 mg/dL), 백혈구 (I군: 7055±1395/mm3, II군: 7316±1989/mm3), 단핵구 (I군: 452±220/mm3, II군: 573±180/mm3) 등의 수치에 있어서 I군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고, HDL-cholesterol (I군: 52±14 mg/dL, II군: 42±10 mg/dL)은 I군에서 유의한 상승을 보였다. 1년간 추적 관찰 중 주요 심장사고에 있어서 재협착율이 I군에서 유의하게 낮았고 [I군: 18예(25.7%), II군: 28예(43.1%), p=0.033] 표적 병변 재개통술이 I군에서 유의하게 낮았으며 [I군: 18예(25.7%), II군: 28예(43.1%), p=0.033], 무사고 생존한 경우가 I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I군: 83예(79.8%), II군: 54예(58.1%), p=0.001]. 결론 : 좌심실 기능 부전을 동반한 급성 심근경색증 환자에서 스타틴을 투여한 경우 지질 대사 이상과 염증 표지자 수치의 유의한 개선을 보였고 재협착율과 표적병변 재개통술이 의미 있게 감소하였고 1년간 무사고 생존율이 높았다.


[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