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로그인

мȸ ǥ ʷ

ǥ : ȣ - 470049   56 
Impact of preoperative severity of coronary artery disease on midterm radial artery graft patency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심장혈관병원 심장내과, 진단방선과¹, 흉부외과²
정보영, 최동훈, 최병욱¹, 고영국, 유경종², 장병철², 장양수, 정남식, 심원흠, 조승연
배경 및 목적 : 최근 radial artery graft (RAG)는 관동맥우회술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다. 관동맥우회술시 이식 혈관이 연결된 관동맥 근위부의 협착이 경미하면 competitive flow로 인하여 saphenous vein을 이용한 경우 이식 혈관의 개통성이 낮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RAG의 경우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최근에 개발된 multislice spiral computer tomography (MSCT)는 비 침습적인 검사로 관동맥우회술에서 이용된 이식 혈관의 개통 여부를 확인하는데 우수하다고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는 수술전 RAG의 근위부 관동맥에 협착 정도가 RAG의 개통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술 전 관동맥의 협착 정도와 MSCT상 RAG의 개통 여부를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 RAG를 이용하여 관동맥우회술을 시행한 5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60.0 ± 7.4세 였으며, 남자가 38명(70.4%)이었다. 수술전 RAG가 연결된 관동맥의 협착 정도를 관동맥조영술에서 측정하였고, 수술 후 1년째 MSCT를 시행하여 RAG의 개통 여부를 확인하였다. 수술 전 관동맥의 협착 정도에 따라 1군 60%미만 협착 (n=17), 2군 60~79% (n=19), 3군은 80% 이상의 협착(n=18)으로 분류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 RAG의 근위부 연결 위치는 IMA가 48명(88.9%)이었으며, 대동맥이 6명(11.1%)이었다. RAG의 원위부 연결 위치는 좌횡지가 31명(57.4%), diagonal branch가 14명(25.9%), 우관동맥이 9명(16.7%)이었다. 다혈관질환이 3군에서 1군과 2군에 비하여 많았으나(p<0.05), 당뇨병, 고혈압 등의 다른 임상적 특징은 3군간 차이가 없었다. RAG가 연결된 근위부와 원위부의 위치 또한 3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MSCT가 시행된 평균기간은 361.5 ± 105.9일 이었고, 51명(94.4%)의 환자에서 RAG의 개통 여부 확인이 가능하였다. MSCT상 RAG의 폐쇄는 전체 환자 중 12명(23.5%)에서 관찰되었고, 1군에서 8명(50%), 2군에서 4명(23.5%), 3군에서는 0명이 관찰되었다. 3군은 1군과 2군에 비하여 의미있게 RAG의 폐쇄가 적었다(1군 vs 3군; p<0.001, 2군 vs 3군; p<0.05). 80%이상의 협착을 가진 환자에서는 1년째 MSCT상 RAG의 폐쇄를 보이는 환자는 없었다. 결론 : 관동맥우회술시 RAG가 연결된 근위부 관동맥의 협착의 정도는 MSCT상 RAG의 1년째 개통 여부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연결된 근위부 관동맥 협착이 80% 이상인 경우 RAG가 폐쇄되는 환자는 없었다. 따라서 관동맥우회술시 RAG를 사용하는 경우 연결될 관동맥의 협착 정도가 심한 환자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