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심장학 최신지견 따라잡기

AHA 2024

제2형 당뇨병환자들에서 철저한 혈압감소의 효과

Intensive Blood-Pressure Control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충남의대 박재형

연구요약

제2형 당뇨병 환자들에서 가장 많은 사인은 심혈관계 질환으로, 고혈압은 그 중 가장 중요한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인자이다. 하지만, 제2형 당뇨병환자에서 수축기 혈압 조절의 효과적인 목표치는 불분명하다. 이에 연구자들은 중국 전역의 145개 임상 사이트에서 제2형 당뇨병, 수축기 혈압 상승, 심혈관 질환 위험이 높은 50세 이상의 환자를 등록한 후, 무작위로 배정하여 최대 5년 동안 수축기 혈압 120mmHg 미만을 목표로 하는 집중 치료 또는 수축기 혈압 140mmHg 미만을 목표로 하는 표준 치료하도록 한 후에 이 결과를 미국 시카고에서 열린 AHA 2024에서 발표하였다. 연구의 1차 결과는 치명적이지 않은 뇌졸중, 치명적이지 않은 심근경색, 심부전으로 인한 치료 또는 입원, 심혈관계 원인으로 인한 사망의 복합적인 결과였다. 누락된 결과 데이터는 무작위로 누락된 것으로 가정하여 다중 대입을 사용했다.

2019년 2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등록된 1만 2821명의 환자(집중 치료 그룹 6414명, 표준 치료 그룹 6407명) 중 5803명(45.3%)이 여성이었으며, 환자의 평균(±SD) 연령은 63.8±7.5세였다. 1년 추적 관찰 시 평균 수축기 혈압은 집중 치료 그룹의 경우 121.6mmHg(중앙값, 118.3mmHg), 표준 치료 그룹의 경우 133.2mmHg(중앙값, 135.0mmHg)로 나타났다. 4.2년의 추적 관찰 중앙값 동안 집중 치료 그룹에서는 393명의 환자(100인년당 1.65건)에서, 표준 치료 그룹에서는 492명의 환자(100인년당 2.09건)에서 일차 결과 사건이 발생했습니다(위험비, 0.79; 95% 신뢰구간, 0.69~0.90; P<0.001). 심각한 이상반응 발생률은 두 치료군에서 비슷했다. 그러나 증상성 저혈압과 고칼륨혈증은 표준 치료 그룹보다 집중 치료 그룹에서 더 자주 발생했다. 이번 연구의 결과로 제2형 당뇨병 환자 중 수축기 혈압 120mmHg 미만을 목표로 하는 집중 치료는 수축기 혈압 140mmHg 미만을 목표로 하는 표준 치료보다 주요 심혈관 사건의 발생률이 유의하게 낮추었다.


임상적 의의

이전의 ACCORD-BP 임상시험은 제2형 당뇨병환자들에서 수축기 혈압 120mmHg 미만을 목표로 하였을 때 심혈관계 질환의 혜택을 입증하지 못하였다. 하지만, 이 연구는 관찰된 사건 발생률에 비해 효과가 부족했을 수 있습니다. 또한, SPRINT연구에서는 철저한 혈압조절이 당뇨병은 없지만 다른 위험 요인을 가진 환자에서도 전체 및 당뇨병 하위 그룹과 마찬가지로 심혈관계 질환의 감소 효과를 보여주었다. 이번 BPROAD 임상시험에서 수축기 혈압을 ≤120mmHg까지 철저하게 감소시키면 기존 목표치인 ≤140mmHg에 비해 심혈관계 질환의 발생이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철저한 혈압의 조절은 증상성 저혈압과 혈청 칼륨 상승이 약간 더 빈번하게 나타났다. 주목할 만한 점은 이번 BPROAD 연구에 참여한 환자들에서 혈당 조절이 전반적으로 더 우수했으며, 하위 그룹 분석 결과 HbA1c ≤8.0%인 환자에서 차별적인 치료 혜택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잘 조절되지 않는 당뇨병의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은 집중적인 항고혈압 치료의 잠재적 이점을 상쇄할 수 있다. 현재 데이터는 당뇨병과 고혈압에서 보다 공격적인 수축기 혈압의 목표를 뒷받침하며, 인구 집단 전반에 걸쳐 일반화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비중국인 코호트에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참고문헌

1) Bi Y, et al., N Engl J Med 2024 epub ahead. DOI: 10.1056/NEJMoa2412006
2) The ACCORD Study Group. N Engl J Med 2010; 362:1575-85.
3) The SPRINT Research Group. N Engl J Med 2015;373:2103-2116

대한심장학회 |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 109
롯데캐슬프레지던트 101동 1704호 (우: 041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