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심장학 최신지견 따라잡기

Webzine No.10

면역, 염증 반응은 고혈압을 유발하는 주요한 병인 기전이다

Immunity and Inflammation in Hypertension – From Basic Mechanisms to Clinical Translation

가톨릭의대 윤종찬

고혈압에서 면역, 염증 반응이 단순한 동반 현상이 아니라 병인 기전 중의 하나라는 것이 이미 잘 알려져 있지만 아직도 구체적인 조절 메커니즘은 충분히 규명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번 Joint Meeting ESH-ISH 2021에서는 “IMMUNITY AND INFLAMMATION IN HYPERTENSION - FROM BASIC MECHANISMS TO CLINICAL TRANSLATION” 라는 제목으로 이 분야의 선구자인 Dr. T. Guzik (Glasgow, UNITED KINGDOM)과 Dr. E. Schiffrin (Montreal, CANADA)을 좌장으로 하여 Dr. G. Lembo (Rome, ITALY)가 “Neuroimmune interfaces in hypertension”이라는 제목으로, Dr. G. Drummond(Melbourne, Australia)가 “Innate immunity mechanisms in hypertension”이라는 제목으로 강의를 하고 Discussion 시간을 가졌다.

Dr. G. Lembo는 오래 전부터 Heart – Brain Axis를 연구해 온 이 분야의 대가로서 최근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고혈압 병인 기전에 있어서 신경계(nervous system)와 면역계 (immune system)의 상호작용을 설명하였다. 외부의 다양한 자극을 인식하고 통합하고 조절하여 체내 항상성을 유지한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갖는 신경계와 면역계는 서로 연결되어 있는데 자율신경계는 림프 및 골수 기관의 발달과 면역 세포의 말초 조직으로의 이동에 관여하고 모든 특정 면역 세포들은 자율 신경계의 반사 회로에 영향을 미친다. 뇌는 자율신경계 (autonomic nervous system)를 통해 내장 기관, 특히 비장과 연결되어 있는데 자율신경계의 불균형 자체가 고혈압의 원인이 되기도 하고 여러 다양한 심혈관계 병태 생리와도 연관되어 있다. 특히 blood brain barrier가 비교적 느슨한 circumventricular organs(CVO)에는 angiotensin II 수용체가 밀집되어 있고 angiotensin II 뿐만 아니라 다양한 싸이토카인에 대하여 반응함으로써 neuroimmune interface의 출발점이 되고 splenic nerve의 sympathetic outflow를 증진시킴으로써 비장 내에서 PIGF 분비가 촉진되고 면역세포들을 priming 시켜 염증 반응을 항진시켜 overt hypertension을 발생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Dr. G. Drummond는 아직 출판되지 않은 본인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NLRP3 inflammasome과 여기에서 분비되는 IL-18이 고혈압 동물 모델에서 cardiac remodelling과 chronic kidney disease 발생의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설명하였다. 특히 NLRP3 inflammasome은 pathogen이 아닌 주로 metabolic disturbance나 cell death와 같은 host-derived danger signal에 주로 반응하는 일종의 “sterile inflammation”이므로 NLRP3 inflammasome이나 IL-18을 potential therapeutic target으로 할 경우 감염의 위험을 높이지 않으면서도 고혈압을 포함한 다양한 염증성 질환을 조절할 수 있는 치료제 개발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Dr. G. Drummond가 “Innate immunity mechanisms in hypertension”이라는 제목으로 강의를 하고 Discussion 시간을 가졌다.

참고문헌

1) Carnevale D, Lembo G. Heart, Spleen, Brain. Circulation. 2018 Oct 30;138(18):1917-1919. doi: 10.1161/CIRCULATIONAHA.118.035628. PMID: 30372133.
2) Carnevale D, Lembo G. Neuroimmune interactions in cardiovascular diseases. Cardiovasc Res. 2021 Jan 21;117(2):402-410. doi: 10.1093/cvr/cvaa151. PMID: 32462184.
3) Drummond GR, Vinh A, Guzik TJ, Sobey CG. Immune mechanisms of hypertension. Nat Rev Immunol. 2019 Aug;19(8):517-532. doi: 10.1038/s41577-019-0160-5. PMID: 30992524.

대한심장학회 |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 109
롯데캐슬프레지던트 101동 1704호 (우: 041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