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심장학 최신지견 따라잡기

Webzine No.9

스마트폰을 이용한 스크린은 심방세동의 진단에 도움이 될까? (VITAL-AF study)

 

경희의대 김진배

연구 배경

본 연구는 현재 관심을 끌고 있는 wearable device인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한 심방세동 진단의 정확도에 대한 연구로 작년 EUROPACE 2019에 발표되었던 APPLE-HEART 연구에서 사용된 photoplethysmography (PPG)방법이 아닌, 단유도의 심전도 (single lead ECG)를 측정하여 심방세동의 스크린에 대한 효율성을 살펴본 연구이다.

연구설계

cluster-randomized trial

연구방법

일차진료기관을 방문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전체 16개 기관에서 65세 이상의환자를 대상으로 활력증후를 측정할 당시 AliveCor Kardia 30초의 단유도 심전도를 이용하여 심방세동의 스크린을 진행하였고 대조군은 심전도 없이 기존의 방식으로 스크린을 진행하였다. 단유도 심전도의 판독은 심장내과 의사가 진행하였고 확진을 위한 검사나 치료의 결정은 담당의에 의해 결정되었다. 전체 35308명의 환자가 등록되었고 17643명, 17655명이 1:1로 각각 단유도 심전도군과 대조군으로 무작위 배정되었다.

주요결과

1년동안 새롭게 진단된 심방세동의 진단율은 두군에서 차이가 없었다. (1.52% 실험군, 대조군 1.39% (relative risk [RR] 1.10; 95% confidence interval [CI] 0.92-1.30; P=0.30). 하지만 이러한 결과는 연령층에 따라 다른 결과를 보여 주었는데, 65-85세 연령층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85세 이상의 연령층에서는 통계학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를 보여 주었다. (0.95% versus 1.00% for age 65-74; P=0.74; 1.84% versus 1.70% for age 75-84; P=0.58; 4.05% versus 2.68% for age 85+; P=0.02) (그림 1). NOAC의 처방도 두 군에서 차이가 없었으며 새롭게 진단된 심방세동 환자에서도 NOAC의 처방은 차이가 없었다. (RR 1.02; 95%CI 0.92-1.14; P=0.70) 단유도 심전도로 스크린을 진행한 군에서 살펴본 심전도 진단의 정확성은 심장내과 의사의 판독을 기준으로 70-80%의 민감성, 특이성을 보여 주었다. (그림 2)

해석

현재 wearable device의 심전도 측정은 PPG방법과 single lead ECG을 이용한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며 국내에도 도입이 승인되어 보험가 확정을 기다리고 있는 상황으로 본 연구는 향후 심방세동이나 부정맥의 스크린을 어떠한 방법으로, 어떤 장비를 활용할지에 대한 해답을 제시해 줄수 있는 연구이다. 이번 AHA 2020에서는 심방세동의 스크린에 대하여 한 세션이 열렸고 본 연구를 포함하여 연구자들의 토의가 이어졌다.
연구결과에서 보듯, 고연령층에서 스크린의 효과를 극명하게 관찰할수 있었는데, 이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유병율이 증가함을 반영하는 것으로 유병율이 낮은 경우 스크린의 유용성이 낮음을 상기해 볼 때 당연한 결과로 받아들여진다. 최근 발표된 ESC 진료지침에서도 75세 이상에서의 심전도 스크린을 class IIa로 하였고 65세 이상은 기존대로 청진이나 맥박 촉진시 이상소견 있는 경우 심전도 스크린을 class I으로 권장하였다.
또한, 단유도 심전도을 이용하여 진단하는 경우 정확도가 문제가 될수 있는데, 이번 연구에 사용된 AliveCor사 기계 판독의 민감도, 특이도가 이전 연구에 비해 향상되었고, 최근 JAMA에 발표된 일반의사들의 심전도 판독 정확도가 50-60%임을 고려해 보면 충분히 스크린 도구로 사용 가능함을 시사한다고 할수 있다.
국내 현실에서 12유도 심전도가 아직 국가 검진에 포함이 되지 않고, 심방세동 유병율이 증가하는 점을 고려해 보면 이러한 wearable device을 이용한 스크린이 점차 증가할 것이고 이로 인해서 심장내과 의사의 역할이 더 강조될 것으로 사료된다.


그림1. 스크린에 따른 새롭게 진단된 심방세동


그림2. 단유도 심전도의 정확성

대한심장학회 |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 109
롯데캐슬프레지던트 101동 1704호 (우: 041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