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심장학 최신지견 따라잡기

AHA 2023

10000명의 환자에서 pulsed field ablation 시판 후 사용의 안전성에 대한 다기관 조사 (MANIFEST-10K)

Multi-national Survey on the Safety of the Post-approval Clinical use of Pulsed Field Ablation in 10,000+ Patients (MANIFEST-10K)

연세의대 엄재선

연구요약

Pulsed field ablation은 심근 조직에 선택성을 가진 주목받는 심방세동 절제술의 에너지원이다. 전임상 연구에서 식도와 횡격막 신경과 같은 심방 주변 조직에 대한 손상이나 폐정맥 협착이 적거나 없는 것을 보여주었다. 유럽에서 허가를 받은 2021년 3월 이후 pulsed field ablation을 받은 모든 1,758명의 환자를 조사한 MANIFEST-PF 연구에서 식도 손상과 폐정맥 협착은 없었고, 1명의 횡격막 신경 손상이 있었다. 냉각절제술에서는 1,000여 명의 환자에서 시술을 시행한 후에나 식도루가 발생했기 때문에 예측할 수 없는 pulsed field ablation 관련한 합병증이 많은 시술이 시행된 이후에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10,000명 이상의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pulsed field ablation의 안전성을 평가하는 후향적 MANIFEST-10K 연구를 계획하였다.

연구자들은 합병증을 평가하는 설문지를 pentaspline 카테터(Farawave, Boston Scientific)를 사용하여 pulsed field ablation를 시행하는 20개 국가의 모든 116개 기관에 보냈다. 24개의 MANIFEST-PF 기관에서 시술을 시행한 최초의 1,758명의 환자는 제외하였다.

연구결과 116개의 기관 중 102개의 기관에서 자료를 받았다. 한 기관 당 평균 3.8명의 시술자가 있었고 pulsed field ablation을 받은 17,068명의 환자가 포함되었다. 한 기관 당 167명의 환자를 시술하였으며, 평균 나이는 64.1세, 여자가 34.4%이었고, 간헐성 심방세동 57.3%, 지속성 심방세동 35.5%, 장기간 지속성 심방세동 5.7%, 심방조동 1.5%의 환자가 포함되었다. pulsed field ablation은 54.2%의 환자에서 깊은 진정 상태에서, 45.8%의 환자에서 전신 마취 상태에서 시행되었다. 식도 손상과 폐정맥 협착, 지속적인 횡격막 신경 손상은 없었다. 주된 합병증은 1.01%의 환자에서 발생하였고, 심장 눌림증 0.34%, 혈관 합병증 0.31%이었다. 뇌경색은 0.13%로 드물었고, 사망은 0.03%이었다. 예상하지 못한 합병증은 관상동맥 연축 0.16%, 용혈에 의한 급성 신부전 0.03%이었다. 초기에 진행된 MANIFEST-PF 코호트와 후기에 진행된 코호트에서 주된 합병증과 경미한 합병증의 발생률은 비슷하였다(각각 p=0.79, 0.88). 사망은 후기 코호트에서만 발생하였다.

결론적으로 pulsed field ablation를 시행 받은 환자의 분석 결과에서 pulsed field ablation의 안전성은 일관되었다. 식도 손상, 폐정맥 손상은 없었으며, 횡격막 신경의 손상은 1000명 중 1명 미만에서 발생하였다. 사망률은 1000명 중 1명 미만이었다. 관상동맥 연축과 용혈과 같은 예상하지 못한 합병증은 드물지만 발생하였다. 이에 대하여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임상적 의의

본 연구는 고주파 에너지, 냉각 에너지에 이어 심방세동 전극도자절제술을 위한 새로운 에너지원인 pulsed field ablation에 대한 대규모 후향적 연구이다. 이전 문헌에 의하면 pulsed field ablation은 고주파 에너지 또는 냉각 에너지와 비교하여 심방세동의 재발률은 비슷하고, 합병증이 적고, 시술 시간이 짧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도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다만, 본 연구에 심방세동의 재발률에 대한 결과는 포함되어 있지 않아서 과연 pulsed field ablation의 효과가 고주파 에너지와 냉각 에너지의 효과를 넘어설지 추가적인 연구가 기대된다.


참고문헌

1) Turagam MK, et al. Circulation 2023;148:35-46.
2) Verma A, et al. Circulation 2023;147:1422-1432.
3) Reddy VY, et al. N Enlg J Med 2023;389:1660-1671.

대한심장학회 |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 109
롯데캐슬프레지던트 101동 1704호 (우: 041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