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utine Functional Testing or Standard Care in High-Risk Patients after PCI (POST-PCI trial)
Summary: 관상동맥 재관류술을 시행한 고위험 환자들에서 일상적인 심장기능 스트레스 검사는 일반 치료 군과 비교하여 임상결과에 차이를 보여주지 못했다.
관상동맥 재관류술을 시행 후 심장기능 스트레스 검사가 환자의 예후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된 대규모 무작위 배정 연구는 없었다. 관상동맥 재관류술을 시행한 고위험 환자들에서 일상적인 심장기능 스트레스 검사가 임상 결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POST-PCI 연구에서 해답을 얻을 수 있었다. POST-PCI 연구에는 관상동맥이 해부학적으로 고위험 병변이거나 심혈관 질환 관련 여러 위험 인자들을 가지고 있는 1706명의 환자가 관상동맥 재관류술 시행 후 1년 뒤 심장기능 스트레스 검사 군과 일반 치료 군으로 무작위 배정되었다. 심장기능 스트레스 검사에는 핵의학 스트레스 검사, 운동부하 검사 또는 스트레스 심초음파 검사가 포함되었으며 일반 치료 군으로 무작위 배정될 경우 통상적인 약물 치료를 유지하였다. 연구의 일차 종말점은 무작위 배정 후 2년 동안 발생하는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 심근경색 또는 불안정 협심증으로 입원을 복합 평가변수로 정하였으며 침습적 관동맥 조영술과 반복적인 관상동맥 재관류술을 이차 종말점으로 정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환자의 평균 연령은 64.7세였으며, 참여 환자의 21%가 좌주간부 병변, 43.5%가 관상동맥 분지혈관 질환, 69.8%가 관상동맥 다혈관 질환, 70.1%가 미만성 긴 병변을 보였다. 참여 환자의 38.7%가 당뇨였으며, 96.4%는 약물 용출성 스텐트 삽입 시술을 받았다. 무작위 배정 후 2년 추적관찰 기간 동안 849명의 심장기능 스트레스 검사 군에서 46명이(5.5%) 일차 종말점이 발생하였고, 857명의 일반 치료 군에서 51명이(6.0%) 일차 종말점이 발생하여 양군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위험비 0.90; 95% 신뢰구간 0.61-1.35, p=0.62) (그림 1). 일차 종말점에 포함된 각각의 변수들을 비교하여도 양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차 종말점인 침습적 관동맥 조영술은 2년 추적관찰 기간 동안 심장기능 스트레스 검사 군에서 12.3% 발생하였으며 일반 치료 군에서는 9.3% 발생하였으며 (2.99% 차이; 95% 신뢰구간 -0.01-5.99), 반복적인 관상동맥 재관류술은 심장기능 스트레스 검사 군에서 8.1% 발생하였으며 일반 치료 군에서는 5.8% 발생하였다 (2.23% 차이; 95% 신뢰구간 -0.22-4.68). 관상동맥 재관류술을 시행한 고위험 환자들에서 일상적인 심장기능 스트레스 검사는 일반 치료 군과 비교하여 2년 추적관찰 기간 동안 임상결과에 차이를 보여주지 못했다.
그림 1.
관상동맥 재관류술을 시행한 고위험 환자들에서 추적관찰 기간 동안 증상이 없을 경우 일상적인 심장기능 스트레스 검사를 시행할 필요는 없다.
1) Park DW, Kang DY, Ahn JM, et al. Routine functional testing or standard care in high-risk patients after PCI. August 28, 2022 DOI: 10.1056/NEJMoa2208335.
2) Visseren FLJ, Mach F, Smulders YM, et al. 2021 ESC guidelines on cardiovascular disease prevention in clinical practice. Eur Heart J 2021; 42: 3227-337.
3) Shah BR, Cowper PA, O’Brien SM, et al. Patterns of cardiac stress testing after revascularization in community practice. J Am Coll Cardiol 2010; 56: 1328-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