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심장학 최신지견 따라잡기

ACC.22 특집호

ICD를 가지고 있는 환자에서 VT 발생 시 언제 전극도자절제술을 하는 것이 좋을까? – PARTITA trial 결과

Results from the PARTITA trial: Catheter Ablation of Ventricular Tachycardia After the First Implantable Cardioverter Shock

중앙보훈병원 황진경

연구요약

최근의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심실빈맥 (ventricular tachycardia, VT)의 전극도자절제술은 구조적 심질환을 가지고 있는 환자에서 반복적으로 VT 이벤트가 발생할 시 적용하도록 권고하고 있다(1). 비록 기존 여러 관찰연구에서 VT ablation 이후 생존율의 향상이 보고되어왔으나, VT ablation의 시점, VT의 재발을 예방하는 것이 생존율 향상과 심부전 진행 예방에 영향을 주는지 등은 여전히 전향적 연구를 통해 풀어야 할 숙제이다. PARTITA trial은 이탈리아를 비롯한 유럽 16개국에서 진행한 다기관, 무작위 배정 연구로 첫번째 ICD shock 이후 조기에 시행하는 VT ablation이 예후에 미치는 영향을 사망률, 심부전 악화, 부정맥 이벤트 등을 통해 분석하였다(2). 연구는 phase A와 phase B로 나뉘는데, phase A는 ICD 삽입 후 첫 ICD shock 이벤트까지 관찰하였고, phase B에서는 shock event가 있었던 환자들을 1:1로 무작위 배정하여 2달 이내 VT ablation을 시행하거나(Group A) electrical storm이 발생할 때까지 standard therapy를 진행하였다(Group B). 무작위 배정 후에는 2년간 추적관찰 하였으며 전 기간 환자들은 home monitor를 사용하여 관찰하였다.


그림 1. Study design

Phase A의 median follow-up 2.4년간, 517명의 환자 중 246명(48%)의 환자에서 VT가 발생하였고, 이 중 sustained VTs는 154명(30%), appropriate shock은 56명(11%)이었다. Phase B에는 56명 중 47명이 등록되었으며 ablation group (Group A)에는 23명, standard therapy group (Group B)에는 24명이 배정되었다. 2년 follow-up 기간동안 all-cause death/worsening HF는 group A에서 4.3%(1명), group B에서 41.7%(10명) 발생하였다 (P=0.010). 이 중 all-cause death는 0% vs. 33.3% (P=0.004) 발생하였으며, worsening HF or cardiac death는 4.3% vs. 25% (P=0.53) 발생하였다. Recurrent VT는 group A에서 8.7%(2명), group B에서 41.7%(10명)이었다(p=0.039). 이를 통해 standard therapy 군 중 primary event가 있었던 모든 환자에서 VT가 재발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림 2. Event-free survival for primary endpoint

임상적 의의

본 연구는 phase A에서 기대에 못 미치는 ICD shock 이벤트가 발생함으로 인해 phase B에서 적은 수의 환자들을 분석할 수밖에 없었던 제한점이 있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VT ablation과 관련된 몇 안 되는 전향적 연구라는 것에 그 의미가 있으며, 또한 VT 이벤트 이후 조기 ablation 치료를 하는 것이 standard therapy를 유지하는 것에 비해 우월할 수 있겠다는 가능성을 제시함으로써 첫 appropriate shock 이후 VT ablation을 고려할 수 있는 근거가 될 수 있는 연구결과라 생각한다.

참고문헌

1) Cronin EM, Bogun FM, Maury P. et al., 2019 HRS/EHRA/APHRS/LAHRS expert consensus statement on catheter ablation of ventricular arrhythmias. Europace. 2019 Aug 1;21(8):1143-1144. doi: 10.1093/europace/euz132.
2) Paolo D.B., Francesca B., Pasquale V. et al., Does Timing of Ventricular Tachycardia Ablation Affect Prognosis in Patients With an Implantable Cardioverter Defibrillator? Results From the Multicenter Randomized PARTITA Trial. Circulation 2022 Apr 3. doi: 10.1161/CIRCULATIONAHA.122.059598. [Online ahead of print]

대한심장학회 |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 109
롯데캐슬프레지던트 101동 1704호 (우: 041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