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제 번호 | 
  접수 번호 | 
  연 자 | 
  소 속1 | 
  소 속2 | 
  제              목 | 
  분야 | 
 
 
  | 1 | 
  400 | 
  오석규 | 
  원광의대 | 
  내과 | 
  심근경색증환자에서 gated
  99mTC-tetrofosmin
  SPECT를 이용한 국소벽 운동의 평가 | 
  15 | 
 
 
  | 2 | 
  33 | 
  최성일 | 
  한양의대 | 
  심장내과 | 
  Functional
  evaluation of slow coronary flow in normal coronary arteries by using
  thallium cardiac SPECT | 
  7 | 
 
 
  | 3 | 
  301 | 
  범희승 | 
  전남의대 | 
  핵의학과 | 
  습성
  심근경색증 후 발생한 승모판역류와 관련된 게이트 심근관류 SPECT 소견 | 
  7 | 
 
 
  | 4 | 
  118 | 
  박계현 | 
  성균관의대 | 
  흉부외과 | 
  대동맥궁 수술의 조기 성적 | 
  10 | 
 
 
  | 5 | 
  222 | 
  백만종 | 
  세종병원 | 
  흉부외과 | 
  Composite aortic root
  replacement | 
  10 | 
 
 
  | 6 | 
  90 | 
  최진오 | 
  서울의대 | 
  내과 | 
  대동맥박리증의
  CT 혈관조영술로의 추적관찰 | 
  10 | 
 
 
  | 7 | 
  165 | 
  정영훈 | 
  울산의대 | 
  심장내과 | 
  혈관염에
  의한 대동맥판 폐쇄부전 환자의 임상상 | 
  10 | 
 
 
  | 8 | 
  117 | 
  김경찬 | 
  성균관의대 | 
  내과 | 
  활동성
  타카야수 동맥염 환자의 면역억제제 치료 후 염증반응 지표 및 혈관병변의 변화 | 
  10 | 
 
 
  | 9 | 
  189 | 
  신익균 | 
  가천의대 | 
  내과 | 
  Interventional
  treatment of different localization of inflammatory vasculitis(Takayasu's
  arteritis) | 
  10 | 
 
 
  | 10 | 
  99 | 
  조영석 | 
  서울의대 | 
  내과 | 
  Takayasu
  동맥염 환자에서 혈관내초음파로 관찰한 대동맥 벽의 변화 | 
  10 | 
 
 
  | 11 | 
  160 | 
  이재환 | 
  울산의대 | 
  심장내과 | 
  긴
  관동맥 스텐트의 임상 경과에 대한 연구 | 
  11 | 
 
 
  | 12 | 
  159 | 
  최시완 | 
  울산의대 | 
  심장내과 | 
  만성
  관동맥 폐쇄병변에서 긴 스탠트 시술의 장기성적 | 
  11 | 
 
 
  | 13 | 
  523 | 
  최락경 | 
  세종병원 | 
  내과 | 
  관동맥
  만성완전폐쇄 환자의 임상적 고찰 | 
  11 | 
 
 
  | 14 | 
  185 | 
  손민수 | 
  가천의대 | 
  내과 | 
  One
  year Follow-up analysis of Unprotected Left Main Coronary Artery
  Stenting | 
  11 | 
 
 
  | 15 | 
  157 | 
  이승환 | 
  울산의대 | 
  심장내과 | 
  복합관동맥
  병변의 회전 죽상반절제술 후 관동맥 풍선확장술과 스텐트시술의 장기임상경과의 비교에 관한 연구 | 
  11 | 
 
 
  | 16 | 
  190 | 
  류운석 | 
  가천의대 | 
  내과 | 
  The
  Usefulness of Cutting Balloon Angioplasty in Coronary Artery Diesase | 
  14 | 
 
 
  | 17 | 
  152 | 
  박승정 | 
  울산의대 | 
  심장내과 | 
  보호되지
  않은 좌주간부 스텐트시술후 장기 추적결과:죽상반절제술의 효과 | 
  11 | 
 
 
  | 18 | 
  312 | 
  염주협 | 
  전남의대 | 
  내과 | 
  CrosswireNT를 이용한 완전폐쇄 병변에 대한 관상동맥 중재술
  경험 | 
  11 | 
 
 
  | 19 | 
  155 | 
  박승정 | 
  울산의대 | 
  심장내과 | 
  관상동맥스텐트
  시술에서 gold-coated NIR stent와 uncoated NIR stent의 다기관 무작위 비교연구 | 
  11 | 
 
 
  | 20 | 
  422 | 
  권기환 | 
  연세의대 | 
  내과 | 
  Rotablation
  vs. balloon angioplasty prior to stenting for treatment of long lesions in
  small coronary arteries: Randomized comparison | 
  11 | 
 
 
  | 21 | 
  359 | 
  채제건 | 
  전북의대 | 
  내과 | 
  다혈관
  관동맥질환에서 경피적완전혈관재개와 허혈혈관재개사이의 장기 임상결과의 비교관찰 | 
  11 | 
 
 
  | 22 | 
  80 | 
  이준희 | 
  서울의대 | 
  내과 | 
  소구경
  관동맥에서 관동맥내 방사선 치료의 역할 | 
  11 | 
 
 
  | 23 | 
  183 | 
  안태훈 | 
  가천의대 | 
  내과 | 
  Cutting
  Balloon for Treatment of Small Coronary Arteries:A Matched Comparison with
  Coronary Stenting | 
  11 | 
 
 
  | 24 | 
  334 | 
  양두경 | 
  동아의대 | 
  내과 | 
  Severe
  Right Subclavian Artery Tortuosity Affecting Cardiac Catheterization via
  Right Upper Extremity Access: Clinical Predictors and Frequency Chart | 
  14 | 
 
 
  | 25 | 
  410 | 
  고영국 | 
  연세의대 | 
  내과 | 
  Immediate
  and Late Outcomes of Carotid Artery Stenting in High-risk Patients | 
  11 | 
 
 
  | 26 | 
  407 | 
  권기환 | 
  연세의대 | 
  내과 | 
  Endovascualr
  Stent-Graft Implantation for Abdominal Aortic Aneurysm | 
  11 | 
 
 
  | 27 | 
  408 | 
  유승기 | 
  연세의대 | 
  내과 | 
  신동맥
  스텐트 삽입술 후 중,장기적 임상적 결과 | 
  11 | 
 
 
  | 28 | 
  431 | 
  최동훈 | 
  연세의대 | 
  내과 | 
  The
  immediate and follow-up Results of Percutaneously delivered Endovascualr
  Stent-Graft for Aortic Aneurysm and Dissection | 
  11 | 
 
 
  | 29 | 
  430 | 
  심원흠 | 
  연세의대 | 
  내과 | 
  Endovascular
  Stent-Grafts Implantation for Descending Thoracic Dissection | 
  11 | 
 
 
  | 30 | 
  69 | 
  이광제 | 
  중앙의대 | 
  내과 | 
  관동맥질환에서
  상행대동맥 탄성의 변화가 관동맥 스텐트시술에 미치는 영향 | 
  11 | 
 
 
  | 31 | 
  524 | 
  이병호 | 
  세종병원 | 
  내과 | 
  성인
  동맥관 개존증 환자에서의 경피적 폐쇄술의 성적 | 
  11 | 
 
 
  | 32 | 
  493 | 
  최소연 | 
  아주의대 | 
  내과 | 
  Comparison
  of TIMI Myocardial Perfusion Grade with Coronary Flow Reserve for Prediction
  of Recovery of Left Ventricular Function and Remodeling in Acute Myocardial
  Infarction | 
  7 | 
 
 
  | 33 | 
  386 | 
  최철웅 | 
  고려의대 | 
  내과 | 
  경흉부
  심초음파를 이용하여 측정한 관상동맥 혈류 예비력에 영향을 주는 인자에 관한 연구 | 
  9 | 
 
 
  | 34 | 
  505 | 
  황성오 | 
  원주의대 | 
  응급의학과 | 
  심폐소생술
  중 시행된 좌심실 조영 심초으파상 승모판 역류 발생의 의의 | 
  15 | 
 
 
  | 35 | 
  240 | 
  김범준 | 
  가톨릭의대 | 
  내과 | 
  IVUS상
  좌전하행지 개구부의 Remodeling 양상에 따른 임상적 특징 | 
  7 | 
 
 
  | 36 | 
  494 | 
  최소연 | 
  아주의대 | 
  내과 | 
  Ultrasound
  Plaque Chracteristics in Patients with Abnormal Coronary Flow Reserve
  Response after Successful Intervention | 
  7 | 
 
 
  | 37 | 
  361 | 
  윤현정 | 
  전북의대 | 
  내과 | 
  관동맥성형술
  저후 심박변동성 지수(Chronotropic index)의 변화에 대한 연구 | 
  9 | 
 
 
  | 38 | 
  306 | 
  류제영 | 
  전남의대 | 
  내과 |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 환자에서 혈소판 Iib/IIIa 응집 억제제와 저분자량 헤파린의 병합 요법의 초기 임상 경험 | 
  8 | 
 
 
  | 39 | 
  305 | 
  정우곤 | 
  전남의대 | 
  내과 | 
  관상동맥
  풍선확장술 후 재협착 예방에 대한 Tranilast의 효과 | 
  8 | 
 
 
  | 40 | 
  89 | 
  황의석 | 
  서울의대 | 
  내과 | 
  급성
  관동맥증후군에서의 달테파린의 임상적 유용성 | 
  8 | 
 
 
  | 41 | 
  51 | 
  전희경 | 
  가톨릭의대 | 
  내과 | 
  확장성
  심근증 환자의 혈청 Extracellular Matrix Components의 임상적 의의 | 
  10 | 
 
 
  | 42 | 
  146 | 
  송재관 | 
  울산의대 | 
  심장내과 | 
  점액성
  변성과 류마티성 승모판 폐쇄부전에서 수선술 후 경과 비교 | 
  12 | 
 
 
  | 43 | 
  271 | 
  김기영 | 
  계명의대 | 
  내과 | 
  Mitral
  ring을 이용한 mitral annuloplasty후 단기간의 심장 구조적인 변화와 ring 종류에 따른 차이 | 
  13 | 
 
 
  | 44 | 
  405 | 
  김정선 | 
  연세의대 | 
  내과 | 
  Comparison
  of Re-do Percutaneous Mtral Valvuloplasty(PMV) with Mitral Valve
  Replacement(MVR) after Previous PMV in Late Clinical Outcome | 
  12 | 
 
 
  | 45 | 
  122 | 
  김현중 | 
  성균관의대 | 
    | 
  The
  role of cardiopulmonary exercise test in mitral and aortic regurgiation:It
  can predict postoperative result | 
  12 | 
 
 
  | 46 | 
  54 | 
  배장호 | 
  건양의대 | 
  내과 | 
  Significance
  of the lntima-Media Thickness of the Thoracic Aorta in Patients with Coronary
  Atherosclerosis | 
  13 | 
 
 
  | 47 | 
  167 | 
  송종민 | 
  울산의대 | 
  심장내과 | 
  하행
  대동맥 벽내혈종 환자에서 경식도 초음파로 관찰되는 echo-free space의 임상적 의미 | 
  13 | 
 
 
  | 48 | 
  31 | 
  박철수 | 
  가톨릭의대 | 
  내과 | 
  Serial
  Assessment of Cardiac Function and Morphology after Bone Marrow
  Transplantation | 
  13 | 
 
 
  | 49 | 
  213 | 
  양종태 | 
  조선의대 | 
  내과 | 
  S-상 심실중격의 임상적 관찰 | 
  13 | 
 
 
  | 50 | 
  83 | 
  정우영 | 
  서울의대 | 
  내과 | 
  대동맥판막륜
  확장증 환자에서 대동맥판막 폐쇄 부전 중증도와 판막륜의 형태학적 특징의 상관관계 | 
  12 | 
 
 
  | 51 | 
  446 | 
  임상현 | 
  연세의대 | 
  흉부외과 | 
  Comparison
  of long term results between bioprosthetic and mechanical valve in tricuspid
  position | 
  12 | 
 
 
  | 52 | 
  174 | 
  강덕현 | 
  울산의대 | 
  심장내과 | 
  Mitral
  Valve Repair Versus Revascularization Only in Treatment of Ischemic Mitral
  Regurgitation | 
  13 | 
 
 
  | 53 | 
  181 | 
  임상현 | 
  연세의대 | 
  심장혈관외과 | 
  승모판막
  부전증 환자에서 ring을 이용한 판막륜 성형술의 장기결과 | 
  12 | 
 
 
  | 54 | 
  348 | 
  윤일용 | 
  전북의대 | 
  내과 | 
  정상인에서
  역동학적인 관정맥동(conorary sinus)경의 변화 | 
  13 | 
 
 
  | 55 | 
  78 | 
  이준희 | 
  서울의대 | 
  내과 | 
  폐동맥고혈압
  환자에서 우심실압 파형과 폐동맥압의 혈관이완제에 대한 반응성의 관계 | 
  13 | 
 
 
  | 56 | 
  42 | 
  서수홍 | 
  고신의대 | 
  내과 | 
  급성
  심근경색 후 사망을 예측할 수 있는 폐정맥 혈류의 도플러 심초음파 지표 | 
  13 | 
 
 
  | 57 | 
  125 | 
  남궁준 | 
  성균관의대 | 
  내과 | 
  흉통을
  호소하는 폐경기 여성에서 정상 운동부하 심초음파검사의 예후인자로서의 역할에 관한 연구 | 
  13 | 
 
 
  | 58 | 
  415 | 
  임세중 | 
  연세의대 | 
  내과 | 
  Real-Time
  심근 조영심초음파를 이용한 심근혈류 예비력의 비침습적 측정 | 
  13 | 
 
 
  | 59 | 
  124 | 
  김병진 | 
  성균관의대 | 
  내과 | 
  말기
  간질환 환자에서 조영심초음파도를 이용한 폐내 단락의 발견빈도와 폐내 단락과 연관된 임상지표들에 대한 고찰 | 
  13 | 
 
 
  | 60 | 
  284 | 
  김형섭 | 
  경북의대 | 
  내과 | 
  심장병
  환자에서 Tei index와 동위원소(Tc-99m)를 이용한 구혈율(EF)과의 연관성 | 
  13 | 
 
 
  | 61 | 
  343 | 
  박종필 | 
  전주예수병원 | 
  내과 | 
  발작성
  심방세동에서 도플러 심근능력 지표의 변화 | 
  13 | 
 
 
  | 62 | 
  16 | 
  윤영원 | 
  연세의대 | 
  심장내과 | 
  인체
  경동맥 죽상반에서 matrix metalloproteinase의 유도/활성 시스템의 발현 | 
  2 | 
 
 
  | 63 | 
  235 | 
  정의명 | 
  성균관의대 | 
  내과 | 
  Asymmetric
  Dimethylarginine(ADMA)Stimulates the Express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9
  in Human Monocytoid Cell Lines, THP-1, via TNF-α | 
  3 | 
 
 
  | 64 | 
  212 | 
  신정호 | 
  고려의대 | 
  내과 | 
  The
  Changes Of Platelet Activities In Acute Vascular Injuries Associated With
  Abdominal Surgery | 
  3 | 
 
 
  | 65 | 
  177 | 
  김세화 | 
  성균관의대 | 
  내과 | 
  TNFRSF12
  expressed on macrophages may have a role in atherogenesis by inducing
  proinflammatory cytokines and matrix metalloproteinases | 
  3 | 
 
 
  | 66 | 
  202 | 
  손지원 | 
  가천의대 | 
  내과 | 
  Effects
  of Statin on Nitric Oxide Bioactivity,Tissue Factor and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1 in Hypercholesterolemic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 
  3 | 
 
 
  | 67 | 
  94 | 
  최진호 | 
  서울의대 | 
  내과 | 
  한국인
  가족성고콜레스테롤혈증 환자에서 새로 발견된 높은 빈도의 LDL수용체 유전자 돌연변이 | 
  3 | 
 
 
  | 68 | 
  336 | 
  김윤이 | 
  성균관의대 | 
  내과 | 
  고령
  여성에서 안지오텐신 전환효소의 유전자 다형성과 동맥경화증의 위험인자들과의 관련성 | 
  3 | 
 
 
  | 69 | 
  86 | 
  김형관 | 
  서울의대 | 
  내과 | 
  한국인에서의
  아포지단백 A-I 및 B의 관상동맥질환과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 | 
  3 | 
 
 
  | 70 | 
  35 | 
  이길환 | 
  가톨릭의대 | 
  내과 | 
  Dystrophin
  cleavage and disruption of sarcolemmal integrity are important for viral
  replication in enterovirus-induced cardiomyopathy | 
  2 | 
 
 
  | 71 | 
  2 | 
  주찬웅 | 
  전북의대 | 
  소아과 | 
  Acute
  Hypoxia에 의해서 유도외는 심장내 Transcription Factor NF - k B의 기능 | 
  2 | 
 
 
  | 72 | 
  229 | 
  임병관 | 
  순천향의대 | 
  내과 | 
  Myocardial
  gene transfer using a novel, replication-defective Coxsackieviral vector | 
  2 | 
 
 
  | 73 | 
  248 | 
  이지은 | 
  경상의대 | 
  내과 | 
  Caveolin-3,
  not caveolin-1, increases in myocardium of heart failure rat model. | 
  2 | 
 
 
  | 74 | 
  23 | 
  김영권 | 
  단국의대 | 
  내과 | 
  β-Adrenergic
  Receptor (β-AR) Signaling Is Not
  Altered in the αMHC403/+Mice | 
  2 | 
 
 
  | 75 | 
  36 | 
  이길환 | 
  가톨릭의대 | 
  내과 | 
  Cleavage
  resistant double mutant of protein synthesis initiation factor 4G (eIF4G-DM)
  are more resistant to Coxsackievirus B3 induced cytopathic effect in
  Vitro | 
  2 | 
 
 
  | 76 | 
  292 | 
  이종은 | 
  전남의대 | 
  내과 | 
  ALTERED
  EXPRESSION OF VASCULAR NATRIURETIC PEPTIDE RECEPTORS IN EXPERIMENTAL
  HYPERTENSIVE RATS | 
  2 | 
 
 
  | 77 | 
  393 | 
  조명찬 | 
  충북의대 | 
  내과 | 
  Dissociation
  of Cardiac Function and Adenylyl Cyclase in Transgenic Mice Overexpressing
  Adenylyl Cyclase Type 5 | 
  2 | 
 
 
  | 78 | 
  43 | 
  주승재 | 
  고신의대 | 
  내과 | 
  Human
  Vascular Endothelial Cells and Smooth Muscle Cells Use Different Integrins
  for Adhesion to Prothrombin or Bone Sialoprotein after ADP Stimulation | 
  2 | 
 
 
  | 79 | 
  246 | 
  김은지 | 
  경상의대 | 
  내과 | 
  Binding
  of GRK with caveolae/caveolin is enhanced in isoproterenol induced cardiac
  hypertrophy | 
  2 | 
 
 
  | 80 | 
  397 | 
  박해남 | 
  충북의대 | 
  내과 | 
  Bradycardia
  and Abnormal Calcium Handling in Transgenic Mice Overexpressing Juntin | 
  2 | 
 
 
  | 81 | 
  179 | 
  윤병구 | 
  성균관의대 | 
  산부인과 | 
  Effect
  of Sysophosphatidylcholine on the Apoptotic Ceath of Cultured Vascular Smooth
  Muscle cells:Modulation by Estrogen | 
  2 | 
 
 
  | 82 | 
  227 | 
  최성준 | 
  순천향의대 | 
  내과 | 
  Overexpression
  of Interleukin-1 Receptor Antagonist in Heart and its Effect on Murine
  Coxsackieviral Myocarditis | 
  2 | 
 
 
  | 83 | 
  298 | 
  염주협 | 
  전남의대 | 
  내과 | 
  미주신경
  과항진성(hypervagotonic) 동기능부전증의 임상 경과 | 
  4 | 
 
 
  | 84 | 
  275 | 
  윤상미 | 
  계명의대 | 
  내과 | 
  상심실성
  빈맥에서 발현시 혈역학적 변화에 기여하는 인자들 | 
  4 | 
 
 
  | 85 | 
  107 | 
  이만영 | 
  가톨릭의대 | 
  내과 | 
  QRS
  Alternans During Paroxysmal Supraventricular Tachycardia(PSVT) | 
  4 | 
 
 
  | 86 | 
  140 | 
  남기병 | 
  울산의대 | 
  심장내과 | 
  d,l-소탈롤
  재분극 연장효과의 심박수 의존성 | 
  4 | 
 
 
  | 87 | 
  45 | 
  김성만 | 
  고신의대 | 
  내과 | 
  심방심실
  동시 조율을 이용한 방실결절 예비능의 평가 | 
  4 | 
 
 
  | 88 | 
  384 | 
  한승환 | 
  고려의대 | 
  내과 | 
  동율동에서
  아데노신 투여로 방실결절내 이중전도로를 진단할때 방실 차단 현상의 의의 | 
  4 | 
 
 
  | 89 | 
  138 | 
  남기병 | 
  울산의대 | 
  심장내과 | 
  방실결절
  회귀빈맥(AVNRT)에서 entrain 기법을 이용하여 측정한 lower common pathway의 위치 | 
  4 | 
 
 
  | 90 | 
  110 | 
  오용석 | 
  가톨릭의대 | 
  내과 | 
  경식도단자를
  이용한 방실회귀성 빈맥에서의 부전도로 위치의 예측 | 
  4 | 
 
 
  | 91 | 
  373 | 
  조은주 | 
  가톨릭의대 | 
  내과 | 
  경식도
  심방자극에 의한 PSVT 유발의 성공 인자 -빈맥의 기전 및 우회로의 위치에 따라 | 
  4 | 
 
 
  | 92 | 
  95 | 
  오세일 | 
  서울의대 | 
  내과 | 
  성공적인
  부전도로 전극도자절제술 후 재발의 예측인자 | 
  4 | 
 
 
  | 93 | 
  116 | 
  김진구 | 
  성균관의대 | 
  내과 | 
  Factors
  Influencing the Improvement of Left Ventricular(LV)Systolic Function in
  Patients with Dilated Cardiomyopathy(DCM) | 
  6 | 
 
 
  | 94 | 
  398 | 
  손보라 | 
  충북의대 | 
  내과 | 
  Mesenchymal
  Stem Cell-Derived Cardiomyogenesis in Vitro | 
  6 | 
 
 
  | 95 | 
  495 | 
  장혁재 | 
  아주의대 | 
  내과 | 
  특발성
  확장성 심근증 환자에서 항-내피세포 항체의 의의 | 
  6 | 
 
 
  | 96 | 
  148 | 
  양현숙 | 
  울산의대 | 
  심장내과 | 
  심부전증
  환자에서 운동능력과 결정인자로서의 삼첨판역류 | 
  6 | 
 
 
  | 97 | 
  521 | 
  유규형 | 
  한림의대 | 
  내과 | 
  국내
  울혈성 심부전 환자의 생졸률 및 예후인자에 대한 다기관 공동연구 | 
  6 | 
 
 
  | 98 | 
  520 | 
  유규형 | 
  한림의대 | 
  내과 | 
  울혈성
  심부전에서 심전도상 QRS파의 연장이 예후에 미치는 영향 | 
  6 | 
 
 
  | 99 | 
  356 | 
  황진수 | 
  전북의대 | 
  내과 | 
  확장성
  심근증환자에서 장기적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심전도상의 특징에 관한 연구 | 
  6 | 
 
 
  | 100 | 
  345 | 
  신미승 | 
  가천의대 | 
  내과 | 
  심장이식
  환자 26명의 임상 관찰 결과 | 
  6 | 
 
 
  | 101 | 
  291 | 
  홍영준 | 
  전남의대 | 
  내과 | 
  The
  Long-term Clinical Outcomes after Primary PCI in Patients with Hypertension
  and Acute Myocardial Infarction | 
  1 | 
 
 
  | 102 | 
  34 | 
  최성일 | 
  한양의대 | 
  심장내과 | 
  Evaluation
  of impaired coronary flow reserve in hypertension associated with degree of
  hypertrophy by thallium cardiac SPECT | 
  1 | 
 
 
  | 103 | 
  209 | 
  박창규 | 
  고려의대 | 
  내과 | 
  Role
  of brain angiotensin II on DOCA-salt hypertension | 
  1 | 
 
 
  | 104 | 
  40 | 
  박정배 | 
  성균관의대 | 
  내과 | 
  본태성고혈압환자에서
  심혈관질환의 위험도와 염증반응의 의의 | 
  1 | 
 
 
  | 105 | 
  394 | 
  김동운 | 
  충북의대 | 
  내과 | 
  Recovery
  process from hypertension has an initial hypercontractile period before
  subsequent decline to normal contractility in isolated rat common carotid
  arteries | 
  1 | 
 
 
  | 106 | 
  207 | 
  한승환 | 
  고려의대 | 
  내과 | 
  관상동맥경화와
  허혈성 심질환의 위험 및 예측인자로서 대동맥경직도 측정의 의의 | 
  1 | 
 
 
  | 107 | 
  286 | 
  허정호 | 
  경북의대 | 
  내과 | 
  전자
  혈압계의 임상적 유용성에 대한 연구-수은혈압계와 비침습적인 혈압계측계와의 비교 | 
  1 | 
 
 
  | 108 | 
  46 | 
  조용범 | 
  노원을지병원 | 
  내과 | 
  일차적
  스텐트 시술 후 TIMI 3혈류 회복 | 
  14 | 
 
 
  | 109 | 
  459 | 
  이종민 | 
  가톨릭의대 | 
  내과 | 
  좌시실구혈율이
  감소된 환자에서 스텐트 시술의 단기 및 장기 성적 | 
  11 | 
 
 
  | 110 | 
  288 | 
  양동헌 | 
  경북의대 | 
  내과 | 
  ST절
  상승이 없는 급성관증후군 환자에서 조기관동맥중재시술의 역할 | 
  11 | 
 
 
  | 111 | 
  186 | 
  신익균 | 
  가천의대 | 
  내과 | 
  Does
  the Facilitated Thrombolysis Before Primary Stenting in Acute Myocardial
  Infarction Impact on the Lete Left Ventricular Function? | 
  11 | 
 
 
  | 112 | 
  313 | 
  홍영준 | 
  전남의대 | 
  내과 | 
  급성
  심근경색증 환자의 관상동맥 중새술 시 Troponin T의 임상적 중요성 | 
  11 | 
 
 
  | 113 | 
  497 | 
  임홍석 | 
  아주의대 | 
  내과 | 
  급성심근경색증에서
  Recombinant Tissue Plasminogen Activator(rt-PA)의 총 투여용량 조절에 따른 효과 및 안전성 비교 | 
  14 | 
 
 
  | 114 | 
  453 | 
  박자영 | 
  침례병원 | 
  내과 | 
  Direct
  Coronary Stent Implantation의 6개우러 추적 관찰 결과 | 
  11 | 
 
 
  | 115 | 
  456 | 
  문건웅 | 
  가톨릭의대 | 
  내과 | 
  Sex
  Differences in Management of Acute Myocardial Infarction(AMI) in the 1990s | 
  11 | 
 
 
  | 116 | 
  432 | 
  구본권 | 
  연세의대 | 
  내과 | 
  Adjuvant
  balloon inflation after successful primary stenting has a negative effect on
  infarct artery flow | 
  11 | 
 
 
  | 117 | 
  501 | 
  이경훈 | 
  원주의대 | 
  내과 | 
  강원지역의
  급성 심근 경색 증 환자에서 조기에 적절한 재관류 요법을 받지 못한 요인의 변화 양상 | 
  14 | 
 
 
  | 118 | 
  475 | 
  홍그루 | 
  영남의대 | 
  내과 | 
  No-reflow
  phenomenon after primary Angioplasty in AMI patients | 
  11 | 
 
 
  | 119 | 
  346 | 
  안정천 | 
  고려의대 | 
  내과 | 
  Platelet
  Activation with Coronary Stenting in Acute Myocardial Infarction | 
  11 | 
 
 
  | 120 | 
  219 | 
  송진영 | 
  세종병원 | 
  소아과 | 
  지속적인
  청색증에 노출된 선천성 심장병에서의 수술 후 cardiac Troponin I 의 농도 변화 | 
  5 | 
 
 
  | 121 | 
  508 | 
  문은경 | 
  충남의대 | 
  소아과 | 
  스폰지성
  심근증(Noncompacted ventricular myocardium)의 임상 양상 | 
  5 | 
 
 
  | 122 | 
  253 | 
  강선미 | 
  충남의대 | 
  소아과 | 
  가와사끼병에서
  Corticosteroid 병용 요법의 임상적 효과 | 
  5 | 
 
 
  | 123 | 
  14 | 
  조혜정 | 
  순천향의대 | 
  소아과 | 
  가와사키병
  급성기에서의 심초음파를 통한 심장 기능 검사 | 
  5 | 
 
 
  | 124 | 
  224 | 
  김양민 | 
  세종병원 | 
  방사선과 | 
  선천성
  심장병 환자에서 후방으로 전위된 상행 대동맥에 의한 기도의 변화 | 
  5 | 
 
 
  | 125 | 
  115 | 
  최연현 | 
  성균관의대 | 
  진단방사선과 | 
  Usefulness
  of Contrast-enhanced MR Angiography in the Evaluation of Normal and Abnormal
  Pulmonary Venous Connections | 
  5 | 
 
 
  | 126 | 
  112 | 
  임을순 | 
  성균관의대 | 
  내과 | 
  ASD Device Closure에서 이용되는 TEE의
  유용성 | 
  5 | 
 
 
  | 127 | 
  409 | 
  김성호 | 
  가천의대 | 
  내과 | 
  Amplatzer
  Ductal Occluder 이용한 동맥관개존 폐쇄술의 중간성적 | 
  5 | 
 
 
  | 128 | 
  66 | 
  이종균 | 
  연세의대 | 
  소아심장 | 
  Coil을
  이용한 동맥관개존 폐쇄의 문제점 검토 | 
  5 | 
 
 
  | 129 | 
  67 | 
  김경식 | 
  연세의대 | 
  소아심장 | 
  심실중격결손이
  없는 폐동맥 폐쇄의 수술-비수술적 협동 치료 | 
  5 | 
 
 
  | 130 | 
  217 | 
  이성규 | 
  세종병원 | 
  소아과 | 
  기능적
  단심실에서 방실판막 폐쇄부전의 수술 | 
  5 | 
 
 
  | 131 | 
  244 | 
  강수정 | 
  서울의대 | 
  소아과 | 
  대동맥판
  폐쇄부전 교정술을 받은 폰탄술 소아 | 
  2 | 
 
 
  | 132 | 
  65 | 
  서정호 | 
  연세의대 | 
  소아심장 | 
  변형
  폰탄수술 후 합병증이 병발된 환자에서 총공정맥-폐동맥 문합술로 전환한 증례 검토 | 
  5 | 
 
 
  | 133 | 
  499 | 
  성시찬 | 
  동아의대 | 
  흉부외과 | 
  심외도관
  폰탄 수술 후 심외도관 내경의 중단기변화 | 
  5 | 
 
 
  | 134 | 
  243 | 
  서영미 | 
  서울의대 | 
  소아과 | 
  Fontan수술
  후 발생한 단배소실 장질환 | 
  5 | 
 
 
  | 135 | 
  391 | 
  고재곤 | 
  울산의대 | 
  내과 | 
  영아기에
  나타나는 빈맥 Tachyrrhythmias in Infancy | 
  5 | 
 
 
  | 136 | 
  204 | 
  이성재 | 
  가천의대 | 
  소아심장 | 
  소아에서
  Idiopathic Ventricular Tachycardia(IVT)와 고주파 전극도자 절제술 | 
  5 | 
 
 
  | 137 | 
  149 | 
  홍명기 | 
  울산의대 | 
  심장내과 | 
  관동맥
  스텐트 시술후 residual Plaque Burden이 추적 관동맥조영술의 재협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11 | 
 
 
  | 138 | 
  512 | 
  서정기 | 
  인하의대 | 
  심장내과 | 
  관상동맥
  협착 병변의 길이, 편심성 정도와 심근분획혈류예비력과의 관계 | 
  14 | 
 
 
  | 139 | 
  13 | 
  이상곤 | 
  울산의대 | 
  내과 | 
  급성
  심근경색증 환자에서 다발성 복합죽상반의 자연경과: 혈관조영 분석 결과 | 
  14 | 
 
 
  | 140 | 
  267 | 
  허승호 | 
  계명의대 | 
  내과 | 
  규정압력(norminal
  pressure)에 의한 관동맥내 스텐트의 확정정도:혈관내 초음파에 의한 분석 | 
  11 | 
 
 
  | 141 | 
  266 | 
  허승호 | 
  계명의대 | 
  내과 | 
  The
  Efficacy of Post-Deployment Balloon Dilatation for the Current Generation
  Stents:Assessed by a intravascular Ultrasound Study | 
  11 | 
 
 
  | 142 | 
  151 | 
  홍명기 | 
  울산의대 | 
  심장내과 | 
  이상적인
  스텐트 시술을 위한 여러 IVUS criteria가 추적 관동맥조영술상의 재협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11 | 
 
 
  | 143 | 
  489 | 
  윤명호 | 
  아주의대 | 
  내과 | 
  Hypermic
  Flow Velocity as a Predictor of Left Ventricualr Functional Recovery in Acute
  Myocardial Infarction with Low Coronary Flow Reserve | 
  14 | 
 
 
  | 144 | 
  509 | 
  김대혁 | 
  인하의대 | 
  심장내과 | 
  관동맥중재시술후
  재협착 유무를 예측하는 데 있어 심근분획혈류예비력(FFR)의 유용성 | 
  11 | 
 
 
  | 145 | 
  182 | 
  류운석 | 
  가천의대 | 
  내과 | 
  Effects
  of Statin on Nitric Oxide Bioactivity, Matrix Metalloproteinase, and Tissue
  Factor in Hypercholesterolemic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 
  3 | 
 
 
  | 146 | 
  325 | 
  류제영 | 
  전남의대 | 
  내과 | 
  The
  Effects of Local Radiation using Ho-166 Balloon on Endothelial Function in A
  Porcine Coronary Moedl | 
  2 | 
 
 
  | 147 | 
  201 | 
  손지원 | 
  가천의대 | 
  내과 | 
  Effects
  of Statin on Nitric Oxide Bioactivity and Markers of Inflammation in
  Hypercholesterolemic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 
  14 | 
 
 
  | 148 | 
  136 | 
  변정득 | 
  순천향의대 | 
  내과 | 
  허혈성
  심질환에서 염증지표에 관한 연구 | 
  14 | 
 
 
  | 149 | 
  200 | 
  손지원 | 
  가천의대 | 
  내과 | 
  Effects
  of Statin on Lipoproteins, Nitric Oxide Bioactivity, Metalloproteinase, and
  Tisssue Inhibitor in Hypercholesterolemic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 
  14 | 
 
 
  | 150 | 
  395 | 
  연태진 | 
  충북의대 | 
  내과 | 
  Role
  of Calcineurin-Dependent Signaling Pathway on the Early and Late Crdiac Remodeling Following MI | 
  14 | 
 
 
  | 151 | 
  68 | 
  이광제 | 
  중앙의대 | 
  내과 | 
  관동맥질환에서
  비정상적 심박수 회복의 의미와 스텐트시술이 운동부하지표에 미치는 영향 | 
  14 | 
 
 
  | 152 | 
  126 | 
  이호현 | 
  성균관의대 | 
  내과 | 
  스트레스성
  심근병증의 특징과 임상 경과:전향적 연구 | 
  14 | 
 
 
  | 153 | 
  264 | 
  윤상미 | 
  계명의대 | 
  내과 | 
  Pacemaker
  환자군에서 DTI분석에 의한 septal motion의 변화 | 
  13 | 
 
 
  | 154 | 
  7 | 
  조구영 | 
  한림의대 | 
  심장내과 | 
  Myocardial
  Strain를 이용한 국소벽운동장애 평가 | 
  13 | 
 
 
  | 155 | 
  268 | 
  김기영 | 
  계명의대 | 
  내과 | 
  Mycardial
  Doppler Tissue lmaging을 이용한 도부타민 부하 심초음파도의 정량적 평가 | 
  13 | 
 
 
  | 156 | 
  8 | 
  조구영 | 
  한림의대 | 
  심장내과 | 
  좌심실
  기능이 정상인환자에서 이완기시 doppler tissue image를 이용한 myocardial velocity gradient | 
  13 | 
 
 
  | 157 | 
  423 | 
  강석민 | 
  연세의대 | 
  내과 | 
  Noninvasive
  Assessment of Coronary Flow Velocity Reserve and Its Relation to Left
  Ventricular Mass | 
  13 | 
 
 
  | 158 | 
  173 | 
  김 준 | 
  울산의대 | 
  심장내과 | 
  좌전하행지
  개통술 후 재협착 진단에 있어 비관혈적으로 측정된 관동맥 혈류예비력의 유용성 | 
  13 | 
 
 
  | 159 | 
  29 | 
  전희경 | 
  가톨릭의대 | 
  내과 | 
  Peripartum
  Cardiomyopathy: Clinical and Echocardiographic Aspects at Evaluation and
  Prognostic Factors | 
  13 | 
 
 
  | 160 | 
  82 | 
  황경국 | 
  서울의대 | 
  내과 | 
  등용적
  수축 시기의 승모판륜속도에 대한 해석:좌심실 이완기말 압력의 새로운 예측 인자 | 
  13 | 
 
 
  | 161 | 
  135 | 
  김명구 | 
  순천향의대 | 
  내과 | 
  좌심실 충만압과 심초음파 지표들의 상관관계 | 
  13 | 
 
 
  | 162 | 
  283 | 
  서영배 | 
  경북의대 | 
  내과 | 
  Primary
  PTCA를 시행한 급성 심근 경색증 환자에서 도플러 심초음파를 이용한 승모판 혈류 감속 시간(deceleratrion time, DT)의
  임상적 의의 | 
  13 | 
 
 
  | 163 | 
  172 | 
  양용모 | 
  울산의대 | 
  심장내과 | 
  관동맥의
  기저 협착정도가 Ergonovine을 이용한 연축 유발시험에 미치는 효과 | 
  13 | 
 
 
  | 164 | 
  231 | 
  양도경 | 
  동아의대 | 
  내과 | 
  Vasospasm
  in Acute Coronary Syndrome:Does Ergonovine Stress Echocardiogram Have Role? | 
  13 | 
 
 
  | 165 | 
  402 | 
  오석규 | 
  원광의대 | 
  내과 | 
  Association
  of the Missense Glu298Asp Variant of the Endothelial Nitric Oxide Synthase
  Gene with Vasospastic Angina | 
  14 | 
 
 
  | 166 | 
  339 | 
  정준용 | 
  충남의대 | 
  내과 | 
  이형성협심증에서
  관상동맥조영술의 추적관찰 | 
  14 | 
 
 
  | 167 | 
  32 | 
  박철수 | 
  가톨릭의대 | 
  내과 | 
  Relation
  Between Pattern of Stress-induced ST Change and Coronary Flow Reserve in
  Patients with Suspected Microvascular Angina | 
  14 | 
 
 
  | 168 | 
  93 | 
  최진호 | 
  서울의대 | 
  내과 | 
  이형협심증과
  세로토닌 (5-HT) 2A 수용체 유전자의 T102C 다형성의 연관성 | 
  14 | 
 
 
  | 169 | 
  175 | 
  이한철 | 
  성균관의대 | 
  내과 | 
  The
  Risk Factors of Vasospastic Angina | 
  14 | 
 
 
  | 170 | 
  163 | 
  김영학 | 
  울산의대 | 
  심장내과 | 
  경피적
  관동맥 성형술 후 당뇨 합병증이 장기 임상 경과에 미치는 영향 | 
  14 | 
 
 
  | 171 | 
  162 | 
  조윤행 | 
  울산의대 | 
  심장내과 | 
  관상동맥
  우회로 수술을 받지않는 좌주간부 관동맥 질환환자들의 장기적 추적관찰 | 
  14 | 
 
 
  | 172 | 
  77 | 
  최의근 | 
  서울의대 | 
  내과 |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무증상 관동맥 병변 진단에 대한 Miami Consensus Development Conference의 유용성 평가 | 
  14 | 
 
 
  | 173 | 
  322 | 
  심두선 | 
  전남의대 | 
  내과 | 
  당뇨병
  환자에서 관상동맥 스텐트 시술과 관상동맥 우회술의 장기 임상결과 | 
  14 | 
 
 
  | 174 | 
  76 | 
  최의근 | 
  서울의대 | 
  내과 | 
  제2형
  당뇨병 환자의 임상 인자들과 관상동맥병변과의 연관성 | 
  14 | 
 
 
  | 175 | 
  18 | 
  남중희 | 
  경상의대 | 
  내과 | 
  배양
  소대동맥내피에서 TNF-a가 엔도텔린변환효소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 | 
  2 | 
 
 
  | 176 | 
  81 | 
  최진오 | 
  서울의대 | 
  내과 | 
  고농도
  포도당에 의한 인간 태반정맥 내피세포의 세포고사(apoptosis)와 bax-α 및 bcl-xL 유전자 발현비의 변화 | 
  2 | 
 
 
  | 177 | 
  104 | 
  백상홍 | 
  가톨릭의대 | 
  내과 | 
  Endothelial
  Progenitor Cell 의 체외 증폭과 분화에 관한 연구 | 
  2 | 
 
 
  | 178 | 
  1 | 
  주찬웅 | 
  전북의대 | 
  소아과 | 
  운동성
  Stress시에 유도되는 심장기능에 관여하는 분자들의 변화 | 
  2 | 
 
 
  | 179 | 
  436 | 
  이병권 | 
  인제의대 | 
  내과 | 
  Rabbit
  Hind limb ischemia model를 이용한 FGF
  유전자 치료효과 | 
  2 | 
 
 
  | 180 | 
  106 | 
  김용주 | 
  가톨릭의대 | 
  내과 | 
  백서
  경동맥 손상 모형에서 저용량 체외 방사선조사가 MMP-2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 | 
  2 | 
 
 
  | 181 | 
  39 | 
  박정배 | 
  성균관의대 | 
  내과 | 
  Tempol,
  Antioxidant Vitamins improve endothelial dysfunction, regress vascular
  hypertrophy and prevent progression of hypertension and renal dysfunction in
  stroke-prone SHR | 
  2 | 
 
 
  | 182 | 
  341 | 
  장기육 | 
  가톨릭의대 | 
  내과 | 
  Effect
  of Epinephrine on Left Ventricular End-systolic Pressure-Volume Relation
  during Coronary Occlusion in Rabbits: Hemodynamic study using sonomicrometry | 
  2 | 
 
 
  | 183 | 
  198 | 
  고광곤 | 
  가천의대 | 
  내과 | 
  Effects
  of Hormone Replacement Therapy on Lipoproteins, Nitric Oxide Bioactivity,
  Matrix Metalloproteinase, and Tissue Inhibitor in Postmenopausal Women With
  Risk Factors | 
  2 | 
 
 
  | 184 | 
  105 | 
  장기육 | 
  가톨릭의대 | 
  내과 | 
  당뇨병쥐
  모델에서 Angiotensin-Converting Enxyme 억제재가 Coronary Microvascular Remodeling에
  미치는 영향 | 
  2 | 
 
 
  | 185 | 
  236 | 
  정해억 | 
  가톨릭의대 | 
  내과 | 
  Doppler
  Wire를 이용한 관상동맥 혈류예비력의 평가에 있어 Nicorandil과 adenosine 의 비교 | 
  3 | 
 
 
  | 186 | 
  75 | 
  조영석 | 
  서울의대 | 
  내과 | 
  고콜레스테롤혈증
  환자에서 경흉부심초음파로 측정한 지질강하 치료 전후의 관동맥 혈률변화 | 
  3 | 
 
 
  | 187 | 
  59 | 
  배장호 | 
  건양의대 | 
  내과 | 
  Postprandial
  hypertriglyceridemia-induced endothelial dysfunction in healthy subjects is
  independent of lipid oxidation | 
  3 | 
 
 
  | 188 | 
  72 | 
  한상진 | 
  한림의대 | 
  내과 | 
  스텐트
  재협착이 발생한 불안정형협심증환자의 재관류 치료(Re-PTCA)시 CRP값의 변화 및 의의 | 
  3 | 
 
 
  | 189 | 
  490 | 
  염철훈 | 
  아주의대 | 
  내과 | 
  Relative
  Hyperemic Flow Velocity As a Predictor of Left Ventricular Functional
  Recovery After Acute Anterior Myocardial Infarction | 
  3 | 
 
 
  | 190 | 
  425 | 
  강석민 | 
  연세의대 | 
  내과 | 
  Oral
  Administration of Testosterone Improves Brachial Vasoreactivity in Men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 
  3 | 
 
 
  | 191 | 
  195 | 
  고광곤 | 
  가천의대 | 
  내과 | 
  Effects
  of Hormone Replacement Therapy on Nitric Oxide Bioactivity and Markers of
  Inflammation in Postmenopausal Women with Risk Factors | 
  3 | 
 
 
  | 192 | 
  73 | 
  유희승 | 
  한림의대 | 
  내과 | 
  Predictive
  Value of C-Reactive Protein for Major Adverse Coronary Event (MACE) After
  Coronary Stenting | 
  3 | 
 
 
  | 193 | 
  239 | 
  김태균 | 
  가톨릭의대 | 
  내과 | 
  비타민
  C가 이형 협심증 환자에서 관상동맥 경련에 미치는 효과 | 
  3 | 
 
 
  | 194 | 
  156 | 
  박성욱 | 
  울산의대 | 
  심장내과 | 
  Re-188-MAG3을 이용한 스텐트내 미만성 재협착병변의 관상동맥내
  방사선치료전에 시행한 죽종절제술의 효과 | 
  11 | 
 
 
  | 195 | 
  485 | 
  김한수 | 
  아주의대 | 
  내과 | 
  관동맥
  완전폐쇄된 스텐트내 재협착 병변에서의 방사선 치료: 6개월 후
  임상적 및 혈관조영술 상 추적 관찰 | 
  11 | 
 
 
  | 196 | 
  309 | 
  김원 | 
  전남의대 | 
  내과 | 
  관상동맥
  중재술 후 재협착 예방을 위한 국소 99m Tc-HMPAO
  전달요법의 초기 결과 | 
  11 | 
 
 
  | 197 | 
  187 | 
  손지원 | 
  가천의대 | 
  내과 | 
  Preliminary
  Results of Combined Intravascular Ultrasound-Guided Cutting Balloon
  Angioplasty and Intracoronary Brachytherapy With a 188Re Liquid-Filled
  Balloon For Diffuse In-Stent Restenosis | 
  11 | 
 
 
  | 198 | 
  421 | 
  변영섭 | 
  연세의대 | 
  내과 | 
  Treatment
  of In-stent Restenosis Combined with Cutting Balloon Angioplasty and
  Intracoronary Holmium Brachytherapy | 
  11 | 
 
 
  | 199 | 
  242 | 
  류운석 | 
  가천의대 | 
  내과 |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s for In-Stent Restenosis:Comparison of Cutting Balloon
  Angioplasty with Rotational Atherectomy | 
  14 | 
 
 
  | 200 | 
  483 | 
  김한수 | 
  아주의대 | 
  내과 | 
  관상동맥
  방사선치료 후에 생기는 edge stenosis의 발생 빈도와 경과 및 geographical miss와의 관계 | 
  11 | 
 
 
  | 201 | 
  230 | 
  김무현 | 
  동아의대 | 
  내과 | 
  Brachytherapy
  using Holmium-166 Liquid Balloon System for in-stent Restenosis:A Single
  Center Short-term Experience | 
  11 | 
 
 
  | 202 | 
  337 | 
  김진우 | 
  동아의대 | 
  내과 | 
  Treatment
  of In-Stent Restenosis with Cutting Balloon Angioplasty: Early and Late
  Outcomes | 
  11 | 
 
 
  | 203 | 
  294 | 
  박옥영 | 
  전남의대 | 
  내과 | 
  돼지
  관상동맥 스텐트 재협착 모형에서 신생내막 형성과 염증 반응은 중요한가? | 
  3 | 
 
 
  | 204 | 
  25 | 
  최유식 | 
  단국의대 | 
  내과 | 
  부정서맥
  환자에서 있어 생리적 심박조율기와 비생리적 심박조율기 치료시의 삶의 질과 좌심실 기능의 비교 | 
  4 | 
 
 
  | 205 | 
  299 | 
  류제영 | 
  전남의대 | 
  내과 | 
  Left
  Ventricular Dysfunction After Long-Term Right Ventricular Apical Pacing | 
  4 | 
 
 
  | 206 | 
  419 | 
  이주용 | 
  연세의대 | 
  내과 | 
  Single
  Center Experience with Intravascular Lead Extraction | 
  4 | 
 
 
  | 207 | 
  385 | 
  이호준 | 
  고려의대 | 
  내과 | 
  cDNA
  microarray법에 의한 심방세동환자에서 발현되는 유전자 양상에 관한 연구 | 
  4 | 
 
 
  | 208 | 
  470 | 
  신동구 | 
  영남의대 | 
  내과 | 
  Possibility
  of predicting the onset of paroxysmal atrial fibrillation(PAF) using spectral
  and fractal correlation measures | 
  4 | 
 
 
  | 209 | 
  141 | 
  이경석 | 
  울산의대 | 
  심장내과 | 
  국소
  전기도에 의거한 common atrial flutter 고주파 절제술의 초기 경험 | 
  4 | 
 
 
  | 210 | 
  379 | 
  김영훈 | 
  고려의대 | 
  내과 | 
  Noncontact Mapping System의 유도하에 시행한 전극도자 절제술 | 
  4 | 
 
 
  | 211 | 
  477 | 
  홍그루 | 
  영남의대 | 
  내과 | 
  Effects
  of Pulmonary Vein Isolation for Atrial fibrillation associated with Mitral
  Valvular Heart Disease | 
  4 | 
 
 
  | 212 | 
  532 | 
  임청 | 
  세종병원 | 
  흉부외과 | 
  신생아에서의
  개심술 | 
  5 | 
 
 
  | 213 | 
  460 | 
  박정준 | 
  울산의대 | 
  소아과 | 
  동맥전환수술시
  신선 자가 심낭막을 이용한 폐동맥 재건술 | 
  5 | 
 
 
  | 214 | 
  216 | 
  김수진 | 
  세종병원 | 
  소아과 | 
  완전
  대혈관 전위 환자에서 대동맥-폐동맥 판막의 Commissural malalignment 가 동맥 치환술에 미치는 영향 | 
  5 | 
 
 
  | 215 | 
  178 | 
  김선영 | 
  성균관의대 | 
  소아과 | 
  완전대혈관전위의 수술적 치료 후 중기 성적 | 
  5 | 
 
 
  | 216 | 
  215 | 
  이재영 | 
  세종병원 | 
  소아과 | 
  소아
  연령에서 승모판 폐쇄부전의 수술 성적-10년 간의 경험 | 
  5 | 
 
 
  | 217 | 
  463 | 
  윤태진 | 
  울산의대 | 
  소아과 | 
  성인
  선천성 심기형에서의 삼첨판막 성형술 | 
  5 | 
 
 
  | 218 | 
  245 | 
  김기범 | 
  서울의대 | 
  소아과 | 
  영아기에
  대동맥 축착 교정술을 받은 환자의 대동맥의 탄성 변화 |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