мȸ ǥ ʷ

ǥ : ȣ - 530969   191 
Aortic atheroma morphology and severity of coronary artery disease
대구가톨릭의대 순환기내과, 영상의학과¹
김정현, 성명준, 정진욱, 김소연, 이영수, 이진배, 류재근, 최지용, 김기식, 장성국, 문성희¹
배경 : 대동맥 죽상동맥경화증은 관상동맥질환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대동맥의 calcium score나 atheroma volume을 측정하여 대동맥의 죽상동맥경화 정도를 평가하기도 하나 이는 별도의 프로그램이 필요하고 또한 번거러운 과정이기도 하다. 본 연구는 흉부 컴퓨터단층촬영에서 쉽게 측정할 수 있는 동맥경화의 변수들과 관상동맥질환의 중증도와의 관련성을 알기 위해 시행하였다. 방법 : 2개월 내에 흉부 컴퓨터단층촬영과 관상동맥조영술을 같이 시행한 환자 315명(남자 : 140, 63 ± 11, 여자 : 175, 69 ± 8.6)을 대상으로 컴퓨터단층촬영에서 관찰되는 석회화의 정도(석회화가 관찰되는 slice의 수)와 죽상반의 두께, 죽상반의 함입(indentation) 여부 등을 측정하여 관상동맥질환의 정도와 비교하였다. 흉부 컴퓨터단층촬영상 대동맥 동맥경화 변수들의 측정은 대동맥궁 하방부터 심장이 관찰되는 부위까지로 제한하였다. 결과 : 관상동맥조영술상 유의한 협착 (>50%)이 있는 환자는 180명(57%)이었으며 단일혈관질환이 97명 (31%), 2혈관질환이 51명(16%), 3혈관질환이 32명(10%)이었다. 심혈관질환 위험인자의 수 및 대동맥 죽상반의 두께와 관상동맥질환의 중증도와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으나 하행대동맥의 죽상반 함입이 있을 경우 중증 혈관질환의 빈도가 높았다(p<0.001). 대동맥의 석회화는 주로 하행대동맥에서 관찰되었으며 석회화 정도가 심할수록 그리고 관상동맥의 calcium score가 높을수록 관상동맥질환의 중증도가 높았다 (p < 0.05), 결론 : 대동맥의 죽상동맥경화 양상과 관상동맥질환의 중증도와는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관상동맥질환이 의심되는 환자의 흉부 컴퓨터단층촬영에서 이와 같은 소견이 관찰될 경우 적극적인 검사 및 치료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ư]


logo 학술대회일정 사전등록안내 초록등록안내 초록등록/관리 숙박 및 교통 안내 전시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