мȸ ǥ ʷ

ǥ : ȣ - 520324   126 
심방세동 도자 절제술 중 나타난 다형 심방조동에서 천장 선형절제의 효과
울산대, 서울 아산 병원
남 기병, 진 은선, 최 기준, 김 유호
배경: 심방세동 도자 절제술 중 흔히 심방세동에서 조동으로의 전환이 이루어진다. 간혹 전환된 심방조동이 두개 이상의 형태를 보이며 자주 자발적인 형태 전환이 되거나 (multiple unstable atrial flutter, muAFL), 심방세동이면서 비교적 규칙적인 심방 활성화가 관찰되는 경우 (organized atrial fibrillation, oAF) 도자 절제술의 목표를 설정하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도자절제술 중 전환된 심방조동의 다수가 천장을 경유하여 나타나는 roof-dependent AFL임에 착안, 이러한 muAFL 혹은 oAF에서 천장 선형절제술 (roof line, RL)이 빈맥을 단순화 시킬 수 있을 것이라 가정하였다. 방법: 1. 전극도자 절제술을 받는 65 명의 심방세동 (발작성:만성=47:18) 환자에서 폐정맥 고립술 (circumferential PV isolation, CPVI)을 시행하였고, 이후 심방세동이 지속되는 경우 비정상 전기도(complex fractionated electrogram, CFE)에 근거한 추가 도자절제술 (electrogram-guided ablation, EGA)을 추가하였다. 2. 이중 CPVI후 혹은 추가적인 EGA후 심방세동이 지속되나 현저한 규칙성이 타나난 경우(oAF, n=5) 혹은 심방조동으로 전환되었으나 여러 형태의 심방활성이 교대로 나타나 일관된 지도화가 어려운 경우(muAFL, n=7) RL을 우선 시행하였고, 이후 이러한 oAF, muAFL가 어떠한 형태로 전환되는지 관찰하였다. 결과: 1. 총 12 명의 환자에서 RL을 시행하였고, 이중 3명의 muAFL 환자에서 직접 동율동으로의 전환이 이루어졌다. 일곱 명의 환자 (3 muAFL, 4 oAF) 에서는 다른 형태의 규칙적 심방조동으로 전환되어 이에 대한 도자 절제술을 이어 시행하였다. 두명의 환자 (1 muAFL, 1 oAF)에서는 전기도의 변화가 없어 새로운 선형절제선을 시행하였다. 2. 심방조동으로 전환된 7명의 환자에서 조동의 기전은 perimitral 5, focal 3, counterclockwise typical 2, pulmonary vein tachycardia 1의 분포를 보였다. 결론: 심방세동 도자절제술 중 나타나는 불안정한 심방조동 혹은 심방활성이 비교적 규칙성을 보이는 심방세동에서 CFE등의 다른 절제 목표가 없을 경우 천장 선형절제를 우선적으로 시행하는 것은 이러한 불안정한 빈맥을 좀더 단순화 시켜 규칙적인 심방조동 혹은 심방 빈맥으로 전환시키는데 유효하였다. 위 결과로 미루어 이러한 불안정한 빈맥은 천장벽을 경유한 회로를 포함한 다수의 회귀회로에 의하여 나타날 것으로 추정된다.


[ư]


logo 학술대회일정 사전등록안내 초록등록안내 초록등록/관리 숙박 및 교통 안내 전시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