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대회 안내 사전등록 안내 초록등록 안내 초록등록/관리 숙박및교통 안내


мȸ ǥ ʷ

ǥ : ȣ - 500832   155 
좌전하행지 개구부 협착병변에서 스텐트 삽입술 시 재협착과 관련된 혈관내초음파 예측인자: 일반스텐트와 약물용출스텐트의 비교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순환기내과학교실
최소연, 탁승제, 윤명호, 최병주, 임홍석, 우성일, 황정원, 강수진, 황교승, 신준한
서론: 관동맥질환의 중재술에서 약물용출스텐트의 등장은 재협착의 감소로 시술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그러나 개구부 협착병변에서 약물용출스텐트 시술 시 재협착 예측인자에 대한 연구는 충분하지 않다. 방법: 관동맥조영술에서 좌전하행지 개구부 5 mm 이내에 70% 이상의 협착으로 스텐트 시술이 필요했던 환자를 대상으로 혈관내초음파 분석을 시행하였다. 관동맥조영술에서 좌주간지 원위부의 협착이 50% 이상인 경우는 제외하였다. 9개월 추적 관동맥조영술에서의 재협착의 여부에 따라 재협착군과 비재협착군으로 분류하여 임상적, 관동맥조영술, 혈관내초음파에서의 재협착 예측인자를 분석하였다. 재협착의 예측인자를 스텐트의 종류에 따라 비교하였고, 시술방법 (스텐트를 개구부까지만 삽입하는 precise stenting과 좌주간지의 원위부까지 삽입하는 cross-over stenting)에 따라 세부분석을 하였다. 결과: 모두 85명의 환자가 분석대상이 되었다 (남자 62 명, 평균연령 58±12 세). 일반스텐트를 삽입한 환자는 39 명으로 모두 precise stenting이 시행되었고 이들 중 재협착은 9 명이었다. 일반스텐트의 경우, 재협착에 미치는 인자는 시술 전 병변의 minimal lumen diameter (MLD: p=0.011), lumen area (LA: p=0.005), % plaque burden (%PB: p=0.032), 좌주간지 원위부의 LA (p=0.005) 및 %PB (p=0.000)이었으며, 스텐트 삽입 후 스텐트 LA가 재협착과 관련이 있었다 (p=0.000). 반면 약물용출스텐트 시술은 46 명에서 시행되었고 (34 명 precise stenting, 12 명 cross-over stenting) 이들 중 재협착은 5 명이었다. 약물용출스텐트의 경우, 시술 전 측정인자는 재협착과 관련이 없었으나, 시술 후 스텐트의 MLD (p=0.043)와 LA (p=0.021)가 재협착과 관련되었다. 또한 시술방법에 따른 세부분석에서, precise stenting의 경우 스텐트 삽입 후 병변의 MLD (p=0.032)와 LA (p=0.046) 그리고 좌주간지 원위부의 %PB (p=0.044)이 재협착과 관련되었다. 대상환자 전체에서 재협착에 대한 다변이 분석결과 약물스텐트 삽입여부 (p=0.002), 좌주간지 원위부의 %PB (p=0.000), 스텐트 후의 스텐트 LA (p=0.001)가 독립적인 예측인자이었다. 결론: 좌전하행지의 개구부 협착병변에서 스텐트 삽입술 시 약물용출스텐트를 사용하더라도 스텐트 후의 잔존협착 정도가 재협착과 관련되며, 특히 스텐트의 근위부 경계의 동맥경화반 정도가 재협착과 관련되므로 좌주간지 원위부의 동맥경화반 정도에 따른 시술방법 고려가 필요하다.


[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