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대회 안내 사전등록 안내 초록등록 안내 초록등록/관리 숙박및교통 안내


мȸ ǥ ʷ

ǥ : ȣ - 500296   118 
한국인 급성 심근경색증 환자의 내원 수단에 따른 임상적 차이에 대한 예비 보고
Korea Acute Myocardial Infarction Registry Investigators
윤남식, 김영조, 조명찬, 김종진, 정욱성, 안영근, 장양수, 승기배, 박승정, 채성철, 김종현, 정명호 외 KAMIR 연구자
배경: 급성심근경색증 환자에서 Door to needle time, Door to balloon time 등 내원 후 과정에 대한 연구는 비교적 진행된 바 있으나 증상 발생 후 진료를 받는 데까지 소요 시간, 환자 후송 시간 혹은 방법에 대한 연구는 매우 드문 실정이다. 방법: 2005년 11월1일부터 2006년 6월31일 까지 KAMIR에 등록된 환자 4666명중 분석 가능한 4092명(남자:여자=2847명:1245명, 63.8±12.7세)에 대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등록된 환자의 내원수단과 소요시간, 증상, 임상경과등에 대해 분석하였다. 결과: 진단명의 분석 가능한 3934명중 2404명(51.5%)은 STEMI 1530명(32.8%)는 NSTEMI를 보였다. 내원수단의 종류와 소요시간은 타인이 운전하는 승용차(25.5%, 1207.6±5944.6분), 119(20.7%, 764.7±4184.7분), 기타 수단 (15.7%, 832.0±2527.2분), 택시(12.7%, 1466.9±6850.9분), 도보(5.7%, 1347.7±4586.2분), 대중교통(1.4%, 1787.3±5719.0), 본인 운전 승용차(0.8%, 652.6±802.9) 등이었다. 본인이 운전하였을 경우 더 흉통을 호소하였으나(85.1% 대 96.7%, p=0.002) 치료성공률이나 관상동맥 집중치료실 재원일에는 차이가 없었다. 119 구급차와 택시를 비교하였을 때, 소요시간의 통계적 차이는 없었으나(p=0.106), 구급차이용 환자에서 심폐소생술(p<0.001), 내원 시 사망상태(p=0.001)가 더 많았고 Killip 분류상 더 심한 심부전상태를 보였으며(p<0.001), STEMI 환자가 더 많았다(67.3% 대 57.1%, p=0.004). 치료 성공률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구급차로 내원한 환자의 사망률이 더 높았다(0.05% 대 0.03%, p=0.047). STEMI 환자만을 대상으로 하였을 때, 본인 운전(437.5±544.0 분), 119 구급차(584.5±1581.3 분)등이 소요시간이 짧았다. 119 구급차가 타인 운전 승용차보다 Killip 분류상 심부전이 더 많았으나 치료 성공률에는 차이가 없었다. 관상동맥 집중치료실 치료는 119 환자가 더 많이 받았고(69% 대 85%, p=0.001), 재원일은 119 환자가 더 짧았다(4.0일 대 3.3일, p=0.042). 도보로 내원한 환자의 pro-BNP가 119 구급차로 내원한 환자보다 높았다(4384.6±7831.3 대 2405.0±5984.4 p=0.037). 전체 환자에서 의료기관 내원 소요시간과 중재술 성공률은 무관하였으나(r=-0.007, p=0.759), 관상동맥 조영술에서 확인된 혈전용해술 성공률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250, p<0.001). 결론: 내원시간 분포가 매우 넓었으며, 내원수단으로 119 구급차이용 환자의 상대적으로 높은 사망률을 보여 119 구급차 이용환자의 질환의 중증도가 기여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한국인 급성 심근경색증환자의 내원 소요시간은 중재술 성공률과는 무관하였다.


[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