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대회 안내 사전등록 안내 초록등록 안내 초록등록/관리 숙박및교통 안내


мȸ ǥ ʷ

ǥ : ȣ - 500119   296 
이형 협심증 환자에서 위험인자의 성별 차이점
전남대학교병원 심장센터, 광주원광대학병원
최명자, 정명호, 최옥자, 김인수, 박수환, 김정훈, 이두환, 임정옥, 박숙령, 최영자, 윤남식, 이상록, 김계훈, 박형욱, 김주한, 안영근, 박종춘, 강정채, 박옥규
연구배경: 최근에 한국에서도 협심증, 심근경색증과 같은 관상동맥 질환이 급증하고 있다. 특히 한국인에서 많은 혈관 연축에 의하여 발생하는 변이형 협심증의 특성에 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6년1월부터 2006년 7월까지 심도자실에서 erogonovine 유발검사를 시행하였던 441예를 대상으로 양성 반응을 보였던 환자를 I군(234예, 51.4±10.6세, 남:여=154:80), 음성 반응을 보였던 환자를 II군(207예, 47.3±12.1세, 남:여=106:101)으로 분류하여 임상적, 진단의학검사 및 관상동맥 조영술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I군에서 II군에 비하여 연령이 많았으며(51.4±10.6세 vs. 47.2±12.1세, p<0.001), 성별에서 남자의 비율이 높았고(65.8% vs. 51.2%, p=0.002). 흡연율은 I군 115예(49.1%), II군 63예(30.4%)로서 I 군에서 높았고(p<0.001) 비만 환자는 I군에서 58예(24.8%), II군에서 45예(21.7%)로서 I군에서 많았다(p=0.010). 고지혈증은 I군에서 81예(35.1%), II군에서50예(25.0%)이었다(p=0.027). Lipoprotein(a)은 I군 22.6±19.8 mg/dL, II군 20.6±17.0 mg/dL로서 차이가 없었고(p=0.470), fibrinogen은 I군 256.2±79.8 mg/dL, II군 225.3±57.9 mg/dL로서 1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04). 다중회귀분석에서 변이형 협심증 발생의 독립적인 위험인자는 남성에서는 흡연(p=0.047), 여성은 비만이었다(p<0.04). 결론: 한국인 변이형 협심증의 위험인자는 남성은 흡연, 여성은 비만이었다.


[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