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대회 안내 사전등록 안내 초록등록 안내 초록등록/관리 숙박및교통 안내


мȸ ǥ ʷ

ǥ : ȣ - 490539   166 
좌심실 기능 부전이 동반된 급성 심근경색증 환자에서 좌심실 기능 개선과 연관된 예측 인자
전남대학병원 순환기내과, 간호부
임상춘, 정명호, 조숙희, 구현아, 문진숙, 박숙령, 임정옥, 이숙자, 최영자, 홍서나, 임상엽, 이상록, 김계훈, 손일석, 홍영준, 박형욱, 김주한, 안영근, 조정관, 박종춘, 강정채
배경 및 목적 : 급성 심근경색증 환자에서 좌심실 구혈율은 환자의 예후와 연관된 중요한 인자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를 통해서 급성 심근경색증으로 내원한 환자에서 좌심실 구혈율의 개선 또는 악화와 연관된 인자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04년 1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급성 심근경색증으로 진단된 환자 중 좌심실 구혈율(left ventricular ejection fraction: LVEF)이 50% 미만으로 저하된 54명의 환자 (60.3±11.0세, 남자 43명)를 대상으로 하였다. 임상 경과 중 좌심실 기능이 표준 편차 (8.5%) 이상 개선된 29명의 환자를 I 군(58.9±11.4세, 남자 23명), 좌심실 기능이 변화가 없거나 악화된 25명의 환자를 II 군(60.8±10.3세, 남자 20명)으로 하여 내원시 임상적 인자나 퇴원 후 심혈관 질환 위험 인자(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흡연, 비만 등)의 조절 여부가 각 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결과: 내원 시 심혈관질환의 위험 인자 중 고혈압, 당뇨, 흡연, 고지혈증 및 비만도 등은 두 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심근경색의 위치나 중재술 성공 여부 및 관상동맥 병변의 특성에서 두 군 간에 차이는 없었으나, 증상 발생 후 내원 시간이 II 군에서 유의하게 지연되어 있었다(22.4±7.5 vs. 6.0±9.5 시간, p=0.046). 퇴원 후 고혈압의 조절 정도, 금연, 콜레스테롤 감소 등의 심혈관 위험 인자 조절 여부는 좌심실 기능 개선과 무관하였고 비만도는 경과 관찰 중에 두 군 모두에서 개선되지 않았다. 치료 약제 중 베타차단제, 스탄틴 계열, 혈관 확장제, 이뇨제 등의 사용은 양 군 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I 군에서 II 군에 비해 안지오텐진 전환효소 억제제의 사용이 유의하게 많았고(79.3 vs. 47.4%, p=0.031), 안지오텐진 수용체 차단제의 사용은 II 군에서 더 많았다(13.8% vs. 47.4%, p=0.019). 결론 : 급성 심근경색증 후 좌심실 기능의 개선과 연관된 가장 중요한 인자는 증상 발생 후 병원 도착까지 시간과 안지오텐진 전환효소 억제제 사용 등이었다.


[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