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대회 안내 사전등록 안내 초록등록 안내 초록등록/관리 숙박및교통 안내


мȸ ǥ ʷ

ǥ : ȣ - 490329   115 
Catheter Closure of Moderate to Large Sized Patent Ductus Arteriosus in Adults: Initial and Follow-up Results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순환기 내과, 소아과¹, 삼성서울병원 심장혈관센터
권성욱, 박승우, 이상철, 임성훈, 조대경, 문주령, 김성혜¹, 허준¹, 강이석¹, 이흥재¹, 전은석, 김덕경, 이상훈, 홍경표, 박정의, 서정돈
배경-심도자방법을 이용한 기구 폐쇄술 (Transcatheter device closure: TDC)이 작은 크기의 동맥관개존증에 효과적이지만 중등도 크기 이상인 경우 이와 관련한 잔류 혈류 및 합병증 등 문제를 가지고 있고, 현재까지 어른에 있어서 이에 관한 임상 결과들은 주로 대규모 소아 연구의 일부분으로만 알려져 왔다. 목적-저자들은 성인에서 2mm 크기 이상 동맥관개존증의 치료로 동맥관개존증 폐쇄 시술의 효과 및 안정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1996년 5월부터 2004년 4월까지 동맥관개존증으로 진단 받은 15세 이상 성인 8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동맥관개존증 폐쇄 시술에는 Amplatzer duct occluder device, multiple Cook detachable coils, Duct-Occlud occlusion system 또는 Sideris buttoned device등이 사용되었다. 통계학적 분석을 위해 환자들을 Group I (ADO 사용군)과 II (비ADO 사용군)로 나누었고, 임상적, 혈역학적 및 혈관조영적 비교를 하였다. TDC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시술 후 기구 전달률과 폐쇄률을 비교하였다. 기구 전달율은 병변 부위에 적절히 위치한 경우이며, 시술 폐쇄는 시술 후 잔류혈류가 없는 경우로 각각을 총 시술건수로 나누어 백분율로 표시하였다. TDC 안정성을 알아보기 위해 TDC후 합병증 유무를 관찰 하였다. 추적관찰은 외래방문 후 심장초음파 검사를 통해 이루어 졌고, 퇴원 당시와 퇴원 후 1개월째, 12개월 이후에서 시행되었다. 결과-총 83명 환자 중 Group I은 51명이었고, group II는 32명이었다. 평균 연령은 35.7±13.8세였고, 3:1의 비율로 여성환자가 많았다. 과거 동맥관개존증 수술을 받았던 경우는 4례가 있었다. TDC후 평균 추적관찰기간은 35.0±26.0 개월이었다. TDC전 혈역학적, 혈관조영술 비교 시 Group I에서 폐동맥 혈압이 높았고 (19.3±11.4 mmHg vs 14.9±4.2 mmHg, p=0.015), PDA 최소 직경이 컸다 (5.2±1.3 mm vs 3.9±1.2 mm p<0.001). TDC동안 투시촬영시간과 조영제 사용량은 각각 23.1±10.3 분 vs 32.3±28.3 분, 103.3±49.9 cc vs 96.4±23.7 cc로 양군에 차이가 없었다 (p=NS). TDC 직후 기구 전달률은 group I과 II에서 각각 100% vs 93.8% (p=NS) 였다. 합병증 비교 시 차이가 없었고 (11.8% vs 18.8%; p=NS), 사망 등 중대 합병증도 없었다. TDC후 PDA 폐쇄율 비교에서 시술 직후인 경우 Group I이 우수하였다 (68.6% vs 34.4 %; p=0.002). 그러나, 1개월 (95.7% vs 90.6, p=NS), 1년 이후 추적관찰에서 (98% vs 90.6%; p=NS) 차이가 없었다. 결론-2mm 이상 크기를 갖는 성인 동맥관개존증 환자에서 TDC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방법으로, 특히 시술 직후 합병증을 동반하지 않는 잔류혈류는 문제가 되지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


[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