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대회 안내 사전등록 안내 초록등록 안내 초록등록/관리 숙박및교통 안내


мȸ ǥ ʷ

ǥ : ȣ - 490257   101 
돼지 심근 경색 모델에서 pCK-VEGF165와 pCK-HGF-X7 심근 직접 주입법의 신혈관조성 및 심기능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흉부외과¹ , ViroMed² , 동국대학교 흉부외과³ , 서울대학교 순환기내과 ⁴, 서울대학교 핵의학과5
조광리¹, 한 웅² , 김동식² , 최재성³ , 박진식⁴ , 이동수5, 장윤정¹ , 김기봉¹
서론: 돼지 심근경색 모델에서 pCK 플라스미드 벡터에 삽입한 혈관내피성장인자(pCK-VEGF165)와 간세포성장인자(pCK-HGF-X7)를 심근직접주입법으로 심근관류량 및 심근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방법: 30kg 돼지의 좌전하행동맥의 원위부 3분의 1을 묶어 심근경색을 유도한 후, 4 주째 심근 SPECT와 심초음파를 시행한 후 pCK (Control, n=8), VEGF (VEGF군, n=7), 또는 HGF (HGF 군, n=6)를 경색변연부에 근주하였다. 4 주후 심근 SPECT상 근주부위의 관류량, 심실벽 비후화, 좌심실의 용적 및 구출률을 비교하였다. 심초음파 검사로는 좌심실기능을 비교하였고 조직에서 혈관내피세포염색으로 그 밀도를 비교하였다. 결과: 유전자 삽입 분절의 심근 관류 및 수축시 심실벽 비후화는 HGF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한 반면, 다른 두 군에서는 변화가 없었다. 좌심실 이완기말 용적은 대조군에서 증가하였고 VEGF군과 HGF군에서는 변화가 없었으나 수축기말 용적이 대조군 과 VEFG군에서는 증가한 반면 HGF군에서는 감소하여 구출률면에서 HGF군은 다른 군과 달리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Table 1). 미세혈관 밀도는 대조군의 189 ± 77/mm2에 비해 VEGF군이 232 ± 66/mm2로 높았으며(p<0.001), HGF군에서는 307 ± 93/mm2로 VEGF군보다 더 높았다(p<0.001). 결론: 경색 변연부에 주입된 pCK-HGF-X7의 신혈관조성 효과는 pCK-VEGF165보다 우수했으며 심기능 개선에 유리한 경향을 보였다.

Table 1. Myocardial SPECT Data

Perfusion (%)

?

4 wks

8 wks

p-value

Control (n=7)

56 ± 22

56 ± 22

0.592

VEGF? (n=8)

57 ± 21

59 ± 21

0.194

HGF?? (n=6)

55 ± 21

58 ± 22

0.012

Wall Thickening (%)

Control (n=7)

30 ± 14

31 ± 14

0.760

VEGF? (n=8)

29 ± 14

31 ± 15

0.390

HGF ??(n=6)

35 ± 14

42 ± 10

0.002

LVEF (%)

Control (n=7)

52 ± 12

51 ± 10

0.866

VEGF? (n=8)

53 ± 8

52 ± 11

0.866

HGF?? (n=6)

54 ± 8

61 ± 7

0.115



[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