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대회 안내 사전등록 안내 초록등록 안내 초록등록/관리 숙박및교통 안내


мȸ ǥ ʷ

ǥ : ȣ - 490079   45 
기저 C-reactive protein이 약물 용출성 스텐트 시술 후 임상적 예후와의 관련성: 1,263명을 대상으로 한 대규모 전향적 연구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심장내과
박덕우, 이철환, 이봉기, 박창범, 서일우, 장재식, 김영학, 강덕현, 정상식, 홍명기, 송재관, 김재중, 박성욱, 박승정
배경: 이전 여러 연구에서 기저 c-reactive protein (baseline CRP)는 일반 금속 스텐트 시술 후의 재협착 및 임상적 예후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하지만 약물 용출성 스텐트 시술 후의 임상적 경과와 기저 CRP의 관계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방법: 2003년 2월부터 2004년 9월까지 약물 용출성 스텐트를 시행받은 1,263명을 대상으로 시술전 측정한 high-sensitivity CRP(hsCRP)가 예후에 미치는 영향을 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대상환자는 시술 전 hsCRP 3.0mg/dL를 기준으로 양군으로 구분하였다 (I군:hsCRP≤3.0mg/dL, 총 921명 vs. II군; hsCRP>3.0mg/dL, 총 341명). 주요 심장 사건은 사망, 심근경색, 표적병변재개술의 발생으로 정의하였다. 결과: 나이, 급성 관동맥 증후군, 참조혈관 크기를 제외하고 양군간의 임상적 특성의 차이는 없었다. Sirolimus 용출성 스텐트와 paclitaxel 용출성 스텐트는 I군에서 76%대 24%, II군에서 70%대 30%로 사용되었다 (p=0.021). Statin의 사용유무는 양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54% vs. 55%, p=0.62). 추적 관동맥 조영술상 재협착율 및 후기 소실은 양군에서 유사하였다 (7.8% vs. 8.1%, p=0.91 & 0.35±0.64 vs. 0.36±0.61,p=0.95). 추적 관찰 기간 중 사망은 II군에서 더 많이 발생하였으나 (0% vs. 1%, p=0.02), 주요 심장사건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2% vs. 3.8%, p=0.74). 결론: 기저 hsCRP는 약물 용출성 스텐트 시술 후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 유의한 인자가 아니었다. 약물 용출성 스텐트가 전신적 염증인자에 영향을 미치는 광범위한 효과가 있는지에 대해서는 향후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lus Web Editor Control By Ensys co., Ltd

 

Group I (n=921)

Group II (n=341)

Age*

60.1±10.1

61.4±10.2

Acute coronary syndrome*

39.8%

48.4%

Cypher vs. Taxus*

76% vs. 24%

70% vs. 30%

Reference vessel diameter*

 2.90±0.49

2.98±0.56

Pre-intervention MLD

0.94±0.59

0.97±0.58

Post-intervention MLD

2.84±0.48

2.86±0.47

Acute gain

 1.91±0.59

1.89±0.59

Late loss

0.35±0.64

0.36±0.61

Binary restenosis

 51 (7.8%)

18 (8.1%)

Mean (mm) ± SD or number (%); MLD=minimal luminal diameter  * p < 0.05


[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