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대회안내사전등록초록등록안내초록등록/관리숙박 및 교통
초록심사

мȸ ǥ ʷ

ǥ : ȣ - 480413   192 
좌전하행지 개구부 병변에 대한 sirolimus 용출성 스텐트의 효과: 혈관내초음파 유도하에 병변의 완전치료를 위한 시술연구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¹, 울산대학교 의과대학², 아주대학교 의과대학³
승기배¹, 김영학², 이철환², 홍명기², 김범준¹, 박성욱², 정욱성¹, 탁승제³, 박승정²
배경: 좌전하행지(LAD) 개구부 병변의 중재적 치료는 시술시 합병증이 많고 재협착율이 높은 병변으로 알려져 있으며 sirolimus 용출성 스텐트(SES)를 시술시에도 불완전한 병변 치료에 의하여 상대적으로 재협착율이 높다는 보고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좌전하행지 개구부 병변에 대한 SES 시술의 효과와 약물 용출성 스텐트의 적절한 시술 방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3년 2월부터 2004년 1월까지 LAD 개구부를 포함한 좌전하행지 병변으로 SES를 시술 받은 8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급성 심근 경색증으로 내원하였거나 원위부 좌주간부(LM)나 좌회선지(LCX) 개구부에 50%이상의 내경 협착이 있는 경우는 제외되었다. 원위부 LM에 혈관내 초음파상 의미 있는 죽상반이 존재하거나, 관동맥조영술상 경도의 협착 소견이 관찰된 경우에는 시술자의 판단에 의해 SES를 원위부 LM에 위치하도록 시술하고 필요한 경우 kissing balloon 확장술을 시행하였으며 (A군, 42명)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개구부 LAD에 정확히 SES를 위치하도록 시술하였다 (B군, 44명). 결과: 기본적인 임상 특성은 양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스텐트 시술 후 스텐트 jail은 (LCX 개구부의 50%이상 내경협착) A군의 5명(11.9%)과 B군의 6명(13.6%)에서 발생하였다 (p=NS). 시술 후 정상의 3배 이상 CK-MB 증가는 A군의 5명(11.9%)과 B군의 1명(2.3%)에서 발생하였다 (p=NS). 6개월 추적 관동맥조영술은 A군의 37명 (88.1%) 및 B군의 41명에서 (93.1%) 시행되었다 (p=NS). 표적 병변의 재협착은 양군에서 각각 1명(A군 2.7%, B군 2.4%)씩 발생하였다 (p=NS). LCX 개구부의 재협착은 B군에서만 2명(4.5%)에서 발생하였다 (p=NS). 추적 관찰 기간 동안 사망, Q파 심근경색증 또는 표적 병변 재관류술등은 양군 모두에서 발생하지 않았다. 결론: LAD 개구부 병변에 대한 혈관내 초음파 유도하의 SES 시술은 매우 양호한 임상 경과를 나타냈다. 특히 원위부 LM에 협착이 동반된 경우에 병변의 완전치료를 위해 원위부 LM까지 SES를 위치시킨다 하더라도 임상 경과는 매우 양호하였다.

Angiographic data

Group A

Group B

Mean reference, mm

3.10±0.53

3.31±0.52

Lesion length, mm

28.7±20.3

22.1±13.3

Preprocedural MLD

0.75±0.44*

1.22±0.46*

Postprocedural MLD

3.10±0.51

3.27±0.46

Late loss, mm

0.21±0.54

0.19±0.38

MLD=minimal lumen diameter, *P<0.05



[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