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대회안내사전등록초록등록안내초록등록/관리숙박 및 교통
초록심사

мȸ ǥ ʷ

ǥ : ȣ - 480384   29 
급성 심근경색증 환자에서 약물방출스텐트의 재협착 방지효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¹ ,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심장센터²
정우영¹ ², 구본권¹ ,연태진¹ ² ,조영석¹ ² ,장혁재¹ ² ,박해준² ,김성욱² ,황지연² ,김효수¹ ,채인호¹ ² ,최동주¹ ² ,조중행² ,오병희¹ ,박영배¹ ,최윤식¹
연구목적 : 약물방출스텐트의 임상연구 중에는 급성 심근경색증(AMI) 환자가 극소수만이 포함되어 있어, 급성심근경색증에서 약물방출스텐트의 효과는 확실하지 않은 면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AMI 환자의 관상동맥중재시술에 있어서도 약물방출스텐트가 일반스텐트에 비해 재협착방지효과가 있음을 증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분당서울대학교병원과 서울대학교병원에서 AMI로 인해 PCI를 시행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스텐트직경 2.5-3.5mm, 길이 33mm 이하로 PCI가 가능한 환자를 DES군과 BMS군으로 무작위 배정하였다. AMI 6개월 후 주요 심혈관계 사건(MACE, major adverse cardiac events) 발생과 시술 직후 및 6개월 후 관상동맥조영술과 IVUS를 시행하여 6개월 binary restenosis, percent diameter stenosis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 DES군에 32명, BMS군에 34명의 환자가 포함되었으며. 각군 사이에 연령, 성별, 위험인자에 있어서 차이를 관찰할 수 없었다. (당뇨병은 각각 31.3% vs 26.5%). AMI로 입원 당시 좌심실 구혈률은 47.7%±10.2, 46.7%±10.4(p=0.7), Killip class I 환자비율은 90.6%, 91.2%였으나 class IV환자는 DES 환자 군에서만 3명(9.4%)있었다. 병변의 위치는 LAD, LCX, RCA 순서로 53.1%, 9.4%, 34.4% 대 55.9%, 2.9%, 41.2%(p=0.491)였으며 DES 군에 1명의 환자에서 left main에 target lesion이 있었다. 다혈관질환의 빈도에 있어서도 차이는 없었다. 추적관찰 기간 중 MACE 발생률은 6.3%와 5.9%(p=0.14)였으며 양 군간에 사용약물에 있어서 차이는 없었다. 6개월 이상 추적관찰한 환자는 40명이었으며 좌심실 구혈률은 53.8%±8.5, 59.3±13%(p=0.27)이었다. 사용된 스텐트의 직경은 차이가 없었으나(3.13mm±0.35 vs 3.14mm±0.31) 길이는 24.88mm±5.4 vs, 21.97mm±5.58 (p=0.035)이었다. PCI 직후 reference diameter(RD), residual stenosis, minimal luminal diameter(MLD)는 차이가 없었으나 6개월 추적한 proximal RD(3.24mm±0.34, 3.05mm±0.21, p=0.08), distal RD(3.06mm±0.41, 2.77mm±0.33, p=0.051)는 BMS 군에서 작은 경향을 보였다. Instent 부위에 대한 MLD는 2.69mm±0.67 vs 1.92mm±0.94(p=0.008), percent diameter stenosis는 18.1%±14.9 vs 36.5%±21.3(p=0.013), late loss는 0.23mm±0.50 vs 0.88mm±0.69(p=0.008)으로서 DES군에서 재협착방지효과가 있었다. 6개월 추적조영술에서 binary instent restenosis를 보인 환자는 BMS군에 2/14(14.3%)였으나 DES군 14명 중에는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 AMI 환자에서도 약물방출스텐트는 재협착방지효과가 있어 우선적으로 사용을 고려하여야 한다.


[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