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대회안내사전등록초록등록안내초록등록/관리숙박 및 교통
초록심사

мȸ ǥ ʷ

ǥ : ȣ - 480287   174 
Comparison of heart rate variability between patients with angina pectoris and acute coronary syndrome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생활계측그룹¹ , 건양대학교병원 심장내과² , 충남대학교 심리학과³
김원식¹, 배장호² , 장은혜³ , 신이철²
목적: 본 연구에서는 관상동맥질환과 자율신경계의 반응이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기존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협심증 환자군과 급성관동맥증후군 환자군에 대하여 심박동변이도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교감신경계의 억제에 관여하는 Beta-blocker를 투약중인 환자를 제외한 관상동맥조영술상 정상인군 18명(남자 7명: 평균연령 47세, 여자 11명: 평균연령 55세), 협심증 환자군 25명(남자 10명: 평균연령 56세, 여자 15명: 평균연령 64세), 급성관상동맥증후군 환자군 3명(남자 1명: 평균연령 60세, 여자 2명: 평균연령 67세)을 대상으로 오전의 공복상태에서 심전도를 측정하여 심박동변이도의 시간영역, 주파수영역, 비선형특성을 분석하였다. 실험절차는 환자에게 누운 자세에서 5분간의 안정상태를 취하도록 한 뒤, 계속하여 5분간의 심전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주파수영역 분석에서 total power(TP) 와 very low frequency power(VLF) 모두가 정상인군에 비하여 협심증 환자군이 유의하게 높았으며(TP: p=0.041, VLF: p=0.013), 시간영역에서의 SDNN은 협심증 환자군에 비하여 정상인군(p=0.033) 과 급성관상동맥증후군 환자군(p=0.016) 모두 유의하게 낮았다. 비선형 특성 분석에서는 Poincare plot 타원의 길이를 나타내는 SD2 가 협심증 환자군에 비하여 정상인군(p=0.021) 과 급성관상동맥증후군 환자군(p=0.010) 모두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고, 타원의 길이와 폭의 비를 나타내는 SD2/SD1 은 협심증 환자군에 비하여 급성관상동맥증후군 환자군이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p=0.014). 결론: 정상인군, 협심증 환자군, 급성관상동맥증후군 환자군의 순서로, 심장질환에 반응하는 자율신경계의 조절력이 처음에는 증가하였다가 급격히 감소하는 양상은 만성 심부전환자에서 관측되는 특징으로서의 교감신경계 활성화를 나타내는 norepinephrine 농도가 계속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말초혈관계의 반응이 계속 감소하는 상황과 유사했다. 집단들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인 심박동변이도 지표들은 안정형 협심증과 급성관상동맥 증후군을 감별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ư]